★★04월 20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경 제》
☞ '나홀로 약세' 원화…한은 "무역수지 적자 지속 등 영향"...한국은행, 금융·경제 이슈분석..."작년 연준 금리인상 이후 환율 변동성 확대"...2월 원화 달러 대비 변화율 표본국가 34개국 중 1위..."무역수지 악화 태국·남아공 등도 통화가치 절하"
☞ 규제 풀어 머크 한국 공장 증설 지원…추경호 "6천억 투자 기대"...정부, 현장대기 프로젝트 55건 해결...액화수소 운반 선박 안전기준 마련...반도체 산업 공정안전보고서 도면 제출 의무 완화
☞ 빚투 급증에도 반대매매 ‘쏙’…진화하는 개미들...신용융자 잔고 20조 돌파 눈앞…반대매매 35%↓...쏠림 완화시 변동성 우려↑…“리스크 제고 시점”
☞ 공공 조달 시 무리한 가격 경쟁 막는다…소방·군인 안전장비 낙찰 하한률 20%p↑...기재부, 제6차 경제 규제혁신 TF 개최...국가계약제도 선진화 방안 추진…낙찰하한율 상향조정
☞ "韓, 2047년부터 역성장"…정부 '산업대전환 전략' 세운다...산업부, 경제학자·국책연구기관과 간담회 개최...잠재성장률 제고 방안 논의…전략수립에 반영
《금 융》
☞ “백내장 보험금 못 받았다”…실손가입자 민원, 2배↑...지난해 금융 민원 8만7113건 접수…3.1% 증가...실손보험금 청구·신용카드 해외사용 관련 민원↑
☞ "금융위기 경고음…예금보호한도 증액·안정계정 도입해야"...민주당-금융노조 토론회...이용우 "금융안정계정, 출자·책임 정해야"...금융리스크 모럴해저드 지적도..."증권사 법인지급결제 허용 '위험한 불장난'"
☞ 車 할부금리 5%대로 '뚝'...금리 더 내려갈까...채권시장 안정화로 자동차금융 금리 '하락세'...캐피탈사 최저금리, 롯데 5.41%·현대 5.9%...자본조달 숨통에 車판매 상승···"금리 내릴 것"
☞ "여전히 배고픈 K-배당"…배당액 줄고 금리보다 수익률 낮아...코스피 상장사 배당액 26.6조…전년比 7.1% 감소...주가 하락으로 '시가배당률'은 씁쓸한 상승
☞ 코인 사기 드러나도 상장 폐지면 끝?… “자본시장법 적용해 처벌해야”...사기 드러나도 거래 종료로 ‘꼬리 자르기’...발행처는 마땅한 보상 방안 제시도 없어...자본시장법 적용해 선제적 대응 나서야
《기 업》
☞ LG화학, 양극재 핵심 ‘전구체’ 공장 새만금에 착공...中 화유코발트와 함께 전구체 공장 건설 계획...2026년까지 5만톤 양산…2차 5만톤 증설 예정
☞ 트렌드포스 "삼성전자, 中 시안 공장 중심으로 낸드도 5% 감산"...트렌드포스 4월 메모리 보고서...지난해 4분기 대비 낸드 생산량 5.34% 감축...128단 낸드 생산 시안 1공장 10% 이상 줄여..."가격 저점 앞당겨 업황 개선 노리는 움직임"
☞ 포스코그룹, 광양서 신사업 4.4조 투자…정부 "신사업 추진 지원"...김학동 부회장 "핵심사업 경쟁력 강화 위해 규제 완화 절실"...한덕수 국무총리 "과감한 규제 혁신으로 신사업 추진 지원"
☞ “‘슈퍼 을’에게 반도체 한파 없다”…ASML, 또 사상 최대 분기 매출...1분기 순매출 약 9조7600억원…전년 대비 90%↑...EUV 장비 전체 순매출의 54% 차지...반도체 불황에도 주요 기업들 수요 꾸준
☞ 中 시장 공략 재시동 거는 현대차…넘어야 할 산 여전...中 진출 20년, 고성능 브랜드로 중국 시장 재도약...고성능 브랜드 N·현지 전략 차종 무사파 공개...2017년 사드 사태 이후 판매 하락…회복도 부진
《부 동 산》
☞ "집값, 아직도 버블…지금보다 20~30% 떨어져야"...김기원 데이터노우즈 대표...빅데이터 분석 결과, 주택구매력 지수 좋지 않아..."현재 매수 타이밍 더 기다려야…좀 더 관망해야"
☞ "신혼부부 주거지원·반값아파트 확대 등…주택보급 늘리고 주거안정 보장"...정종대 서울시 주택정책실 주택정책지원센터장...주택 구입 부담은 높아지고, 주택보급률은 감소...신혼부부·청년층·고령층 등 맞춤 정책으로 지원...반값 아파트, 공공택지보유 정부 차원 확대해야
☞ 전세사기로 전재산 잃었는데 빚 내서 또 전세 가라는 정부...피해 임차인 대상 1600억 예산 편성에도...실 집행은 9억에 불과·긴급주거도 9명뿐
☞ 미추올 이어 동탄도 전세사기 쑥대밭... 피해자들 발동동...피해자 대다수 20~30대..."오피스텔 250채 소유 부부 파산" 신고 다수 접수…경찰 수사 중
☞ 국내서 해외서 맞손 잡는 삼성물산·현대건설… 경쟁보단 협력 택한 국내 1·2위 건설사...울산 B04 재개발, ‘사업단’ 이뤄 입찰...사우디 ‘더라인’ 터널 공사, 컨소시엄 이뤄...”업황 침체 고려해 경쟁 지양”
《사 회 유 통》
☞ “9년째 그대로인 배달비, 4000원으로 올려달라”… 배달플랫폼 노조, 파업 예고...라이더 노조 “업주에 받는 배달비서 라이더 몫 올려라”...사무직 노조 “주 35시간 근무제 차별 없이 시행”...우아한청년들 “성실한 자세로 대화 이어갈 것”
☞ 1년간 ADHD치료제 2만개 처방…마약 ‘대체제’된 의료용 마약 ‘무분별 유통’...‘의료용 마약’ 처방 매년 늘어...5년간 ADHD 치료제 78%, 진통제 75% 늘어...‘의료용 마약 쇼핑’도 반복…1년간 ADHD치료제 2만개 처방...“신분증 위조, 외국시민권자 주장…신분 확인 허술한 병원 노려”
☞ 합판 더미에 구멍 뜷어 '수출 담배' 밀수...30만 갑 이미 시중에...합판 사이 국산 담배 숨겨 컨테이너 화물로 밀수...중국행 화물로 담배 숨겨와 바꿔치기 시도까지...세관, 담배 40만 갑 밀수 하루 사이 적발...2020년 2월부터 국산 담배 130만 갑 밀수
☞ '보행교 무너지고, 출근길 압사공포'..일상이 안전한 나라 만든다...행안부, 신종재난 위험센터 신설·주민점검신청제도 첫 시행..'안전대(大)전환, 집중안전점검'도 병행
☞ “마약사범, 가두는 게 능사 아냐” vs “엄벌로 경각심 높여야”...‘마약 투약자 솜방망이 처벌’ 국민적 인식...전문가 “중독범죄, 엄벌로 극복되지 않아”...재활·치료센터 등 인프라 확충이 더 중요...검·경 등 수사기관서는 “이상적인 얘기” 반론도...정부, 마약범죄 양형기준 강화 추진 계획 발표
《국 제》
☞ 美, 비트코인만 빼고 다 죽이나… 이더리움 이어 디파이도 제재한다...美 SEC, 디파이 상품도 증권 포함된다 주장...앞서 이더리움 역시 증권에 해당된다고...가상자산 대혼란 불가피… 업계 ‘노심초사’
☞ 北전문가가 보는 북한사회…콜린 크룩스 英대사 특별강연...한·영 수교 140주년 맞아…명사 초청 간담회...평양서 4년간 英대사…북한 전문가로 알려져
☞ 영국 내 '中 비밀경찰서' 비상…연루자, 총리 접근해 오찬까지...교민대표로 나서 보수당 모금행사…존슨·메이 기념촬영...英 정보당국 "외국정치 입김 넣으려 유력 정치인에 접근"
☞ 日 관광입국 추진에 인력난 걸림돌…기업 66% "정규직 사원 부족"...일손부족 가장 심각한 곳은 '운수업', 일손 남아도는 곳은 '인쇄업'
☞ 中 베이징 병원 화재 사망자 29명으로 늘어, SNS 통제하나?...베이징 병원 화재 사망자 29명, 대부분 고령 환자...SNS에 올라왔던 사건 사진 및 영상 사라져, 당국 검열 의혹
#청와대시계 #청와대커플시계 #아빠엄마선물 #클라식워치 #클래식시계 #외국인선물 #대한민국기념품 #어버이날선물 #어버이날선물추천 #어버이날추천선물
청와대 Simple Black 남여 커플 가죽 시계, 부모님선물, 아빠선물, 엄마선물, 어버이날선물, 외국인
[기념품샵] 저희 기념품샵에서는 고객님들을 대신해 특별한 구매대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smartstore.naver.com
2023년 4월 20일(목)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발생현황
ㅇ 총 확진자 : 31,039,863명(+14,094명)
* 전주동일(11,596명) 대비 +2,498명
- 국내: 14,072명
▁▁▁▁▁▁▁▁▁▁▁▁▁▁
4. 20(목) 경찰관련 기사 스크린
▔▔▔▔▔▔▔▔▔▔▔▔▔▔
(목) 🌧 → 🌦 15℃ / 18℃
'곡우' 중서부 비, 계절 제자리...남부 초여름 더위
금(12/21℃)🌤 토(10/20℃)🌤 일(12/22℃)🌤
❏ 윤희근 경찰청장, 경기남부청 찾아 '마약범죄 총력수사' 당부 / 수사 유공자 특진 임용…"공적 포상 늘리겠다"
https://dai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948082
- "악성 바이러스 마약 근절"…필로폰 유통조직 소탕한 경찰관 특진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164806635577760&mediaCodeNo=257&OutLnkChk=Y
- 특진자 및 가족에 축하 전하는 윤희근 경찰청장
https://www.yna.co.kr/view/PYH20230419072500061?input=1196m
❏ 필로폰 12만명분·116억원어치 국내에 반입한 조폭 등 58명 검거
http://www.joongang.tv/news/articleView.html?idxno=62639
❏ 경기북부경찰청-대진대 '미래·과학치안 기반 범죄예방' 업무협약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419_0002273230&cID=10817&pID=14000
❏ 경북경찰-동양대 경찰행정‧범죄심리학과와 업무협약 체결
https://www.onews.tv/news/articleView.html?idxno=162610
❏ 경찰인재개발원, '폭발물·마약 현장대응 모의 합동훈련' 실시
http://www.newstnt.com/news/articleView.html?idxno=268939
❏ 시행 석달 앞둔 경찰승진·임용 개정안…경찰청, ‘시험·심사’ 인사제도 수술대 / '경찰공무원 승진임용 규정' 개정안 오는 7월 4일 시행 예정 / 계급별 최저근무연수 16년→11년 단축…일반 순경 빠른 승진 취지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30419010011181
❏ '4천만원→2만원' 경찰, 저렴한 폭발물처리 장비 발명 / 경찰청, 현장 경찰관들 아이디어 민간에 기술이전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419_0002273168&cID=10201&pID=10200
- "폭발물 처리기·다용도 파쇄기"…현장 경찰관 발명 기술 기업에 이전
https://www.news1.kr/articles/5020721
❏ 우회전, 전방 ‘빨간불’이면 멈췄다 출발…22일부터 단속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88615.html
- 빨간불 우회전하면 범칙금 6만원…22일부터 경찰 단속 / 개정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3개월 계도 끝 / 전방 빨간불땐 우회전 전 일단 정지해야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07046635578088&mediaCodeNo=257&OutLnkChk=Y
❏ 안전띠 안 맨 차, 1617건 잡아냈다…지상 150m 위 '매의 눈' [영상]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56444
❏ 24일부터 경찰-소방 상호 연락관 파견…재난 관제시설도 확대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30419010011474
❏ '보행교 무너지고, 출근길 압사공포'..일상이 안전한 나라 만든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41915080122314
❏ 2025년까지 모든 시·군·구에 재난안전상황실 설치한다
https://www.news1.kr/articles/5020741
❏ 행안부, 행정혁신 ‘최초-최고’ 기관 17곳 선정 / 경찰청 ‘보이는 112 시스템’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30419/118918964/1
❏ '통장협박' 이제 안 통한다...정부, 보이스피싱 맞춤형 대책 내놨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41915171822220
❏ 경찰, 여성폭력 가해자 상담 긍정적 평가...의무화 건의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02238
❏ 순찰 돌던 전북 경찰들의 신속한 대처로 큰 피해 막아 화제
http://www.jeolla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690194
❏ 김기현 “음주운전 방지 장치 의무화법, 당 차원 추진”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30419010011564
❏ 전장연, 오전 8시부터 삼각지역서 '장애인의 날' 지하철 시위 / 탑승 시도 예고에 출근길 혼잡 우려…교통공사 "무정차 고려"
https://www.sedaily.com/NewsView/29ODJKTFBF
❏ 방역 수칙 완화 후 급증하는 '지하철 유실물'…되찾는 방법은?
❏ 공부방서 마약 판 고3 세친구…수사중 대학까지 붙었다 / 텔레그램 통해 약 5억원어치 마약 거래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8178954&code=61121211&cp=nv
❏ 부산 혼술男 "밤 깎게 칼 좀" 받자마자 돌변…손님 목에 들이댔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41921204930113
❏ 경찰, '여기자 성추행 의혹' JTBC 기자 2명 수사 착수
https://www.fnnews.com/news/202304191438429064
❏ 경찰, SNS 투신 10대 성착취 의혹 '신대방팸' 내사
https://www.yna.co.kr/view/AKR20230419155400004?input=1195m
❏ 동탄 250여채 전세사기 터지나…경찰, 58건 신고에 수사 착수
https://www.hani.co.kr/arti/area/capital/1088530.html
❏ 해경 유치장에서 가족과 스마트폰 영상통화로 접견 가능해져
https://news.imaeil.com/page/view/2023041910451099942
❏ ‘독이 든 성배인가’ 대학가 확산하는 ‘성중립 화장실’
https://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189052
❏ 강북구의회 의장 차에 3세 아동 치여 사망…"의장직 사퇴"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4200020&t=NN
❏ 美, 학폭 가해자 최대 징역 15년…佛은 최대 징역 10년
https://www.news1.kr/articles/5021045
❏ 野 3당 오늘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 특별법 공동 발의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3042001039910226003
❏ 與, 전세사기 대책 긴급당정…우선매수권·긴급대출 논의
https://www.yna.co.kr/view/AKR20230419152600001?input=1195m
❏ "先지원, 後구상권 청구"...野, 전세사기 특별법 제정 추진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41915140256478
❏ 국빈 방미 앞둔 尹 안보·경제 다 잡을까…동맹수준 성과로 확인
https://www.news1.kr/articles/5021336
❏ 尹 방미때 경제사절단 122명 동행… 하버드대 첫 강연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30420/118919881/1
❏ 사설
https://news.naver.com/opinion/editorial
❏ 칼럼
https://news.naver.com/opinion/column
❏ 만평
https://news.naver.com/opinion/cartoon
❏ [오늘의 국회일정] (20일, 목)
https://www.news1.kr/articles/5021301
❏ [오늘의 주요일정] 정치·정부(20일, 목)
https://www.news1.kr/articles/5021320
❏ [오늘의 주요일정]사회(4월20일 목요일)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419_0002273408&cID=10201&pID=10200
< 해외 >
❏ 세르비아 경찰, 권도형 은둔 주택 압수...220만 달러 상당 고급주택
https://www.tokenpost.kr/article-129909
❏ 日순시선, 최근 한 달 새 독도 근해 8회 출현… 해양조사 방해도
https://www.news1.kr/articles/5020998
❏ 日 정부 고독·고립 문제 해결 위해 법안 마련에 박차
https://www.news1.kr/articles/5021088
❏ 미 오하이오 대배심, 흑인에 94발 쏜 경찰 8명 '불'기소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418_0002271720&cID=10101&pID=10100
❏ 하노이, 코로나 감염자 급증…공공장소 마스크 의무화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160435&plink=ORI&cooper=NAVER
—————————————————————————————————
❏ 엠폭스 환자 2명 더 늘어 누적 18명…"밀접 접촉 주의"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160693&plink=ORI&cooper=NAVER
❏ 병원 북새통… 코로나·독감·아데노 동시 유행 / 봄철 호흡기 질환 기승
#화장품파우치 #화장품가방 #전통파우치 #외국인선물 #한국기념품 #서울역명품마루 #중소기업명품
#핸드메이드파우치 #아이디어스전통파우치 #윤미진작가 #어버이날선물 #어버이날선물추천 #어버이날추천선물
❏ 면역력을 높여주는 7가지
1. 음료 제대로 마시기
우리가 매일 마시는 음료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신체 면역력을 쉽게 높일 수 있다. 습관적으로 마시는 커피와 탄산음료 대신, 깨끗한 생수와 따뜻한 차를 마셔주면 면역력 증가에 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차가운 생수를 벌컥 벌컥 마시게 되면 찬 기운으로 인해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으므로, 따뜻한 차를 수시로 마시는 것이 좋다.
계피차에 꿀을 함께 타서 마실 경우 맛도 좋을 뿐 아니라, 백혈구 기능을 향상시켜 면역력에 도움이 된다. 또한 면역력에 좋은 비타민C가 풍부한 과일차를 수시로 마셔주는 것도 좋다. 구하기 쉽고 값도 저렴한 감귤 껍질로 만든 진피차는 건강한 봄을 보내는 데 그만이다. 탄산음료를 자제하고 이런 음료들을 마시면 비만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2.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음식 먹기
마시는 음료뿐만 아니라, 먹는 음식 역시 우리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음식을 먹는 것이 면역력 강화에 좋다. 체온이 낮아지면 면역력도 동시에 낮아져 질병에 걸리기 쉬운 몸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양배추, 브로콜리, 마늘 등 몸의 기운을 따뜻하게 만들어 주는 음식을 자주 섭취하되, 생으로 먹기 보다는 데치거나 삶아서 먹는 것이 영양분을 흡수하는 데 도움이 된다.
3. 오색 채소 섭취
시금치처럼 푸른빛을 띠는 채소는 간 기능을, 팥과 같이 붉은 색을 띠는 음식은 신장 기능을, 흰색 채소는 폐 기능을 향상시킨다. 노란 파프리카는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콩, 미역 등 검은빛을 띠는 식품은 콩팥에 좋다. 이들 음식들은 뱃살을 빼는데도 좋다. 신체 면역력을 올리기 위해서는 건강한 음식 섭취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건강한 조리법과 규칙적인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이다.
4. 집에서도 몸을 움직여야
운동이 좋다는 것은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운동을 통해 체온이 1℃ 높아지면 면역력은 5배 높아지는 만큼, 면역력을 높이는 데도 운동만큼 효과적인 방법은 없다. 하지만 막상 바쁜 일상 속에서 꾸준히 운동을 한다는 것은 생각만큼 쉽지 않다.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하고, 점심시간에 산책하는 습관을 갖도록 하자.
산책을 하면 운동 효과는 물론, 걷는 동안 햇볕을 쬐면 비타민D 합성에도 도움이 된다. 면역력을 높이는 비타민D의 경우 햇볕에 의해서만 합성이 된다. 사무실에 앉아 있거나 집에서 TV를 볼 때, 그리고 걷기 중에 배에 힘을 주는 작은 습관도 면역력 증가를 위한 방법 중 하나다. 자연스레 근육을 자극해 체온을 높여주기 때문이다.
5. 하루 7시간 정도는 자자
충분한 수면을 통해 휴식을 취해야 우리 몸의 면역력도 높아진다. 하루 7-8시간 정도의 수면을 유지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잠자는 시간대이다. 우리 몸의 면역 활동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밤 11시에서 새벽 3-4시 사이에는 반드시 수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자기 전, 반신욕이나 족욕을 통해 몸의 긴장과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것도 깊은 수면을 유도해 면역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6. 복식호흡의 중요성
매일 잠들기 전이나 아침에 일어나 5분 정도 복식호흡을 하는 습관을 갖는 것도 좋다. 분당서울대병원에 따르면 복식호흡을 하면 폐 깊숙이 신선한 공기가 들어올 뿐 아니라 몸 속 장기를 자극해 냉기를 없애준다. 면역력을 저하시키는 활성산소를 배출시키고, 우리 몸의 방어 기능을 맡은 편도선과 임파선을 활성화시키는 효과도 있어 면역력 증가에 도움이 된다.
7. 작은 것부터 실천을…
면역력이나 다이어트를 위해 갑자기 음식을 바꾸고 운동을 하는 것은 쉽지 않다. 늘 “누가 모르나? 실천이 문제야”라고 그냥 넘길 수 있다. 그러나 큰 병을 앓은 사람은 식습관을 바꾸는 경우가 많다. 건강의 중요성을 절감했기 때문이다. 위에서 제시한 습관 중 한 가지라도 실천해보자. 몸이 바뀌는 것을 느낄 것이다. 면역력을 올리고 뱃살을 빼는 것은 큰 돈을 들이기보다 작은 습관부터 시작된다.
❒4월 20일 목요일❒
● 본격 농사철이 시작된다는 절기상 곡우인 오늘도 초여름 날씨가 이어지겠습니다. 전국이 대체로 흐린 가운데, 서울의 낮 최고 기온은 20도, 대구는 30도까지 오르겠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 맞는 4·19혁명 기념식에 참석해 헌법정신을 강조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피땀으로 지킨 자유민주주의가 현재 위기라면서, 거짓 선동과 위장에 절대 속아서는 안 된다고도 역설했습니다.
● 우크라이나에 군사 지원을 시사한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러시아는 전쟁 개입이라고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에 러시아 최신 무기를 주면 어떤 반응을 보일지 궁금하다며 원색적으로 위협했습니다.
● 미국은 ‘NASA’, 북한은 ‘NADA’→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의 영문 약자는 ‘NADA’(National Aerospace Development Administration)으로 미국 항공우주국(NASA·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과 유사.
로고도 비슷해 따라 한 게 아니냐는 분석도.(헤럴드경제)
● 미국의 싱크탱크 전문가는 러시아가 이미 한국을 교전국으로 간주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직접 무기를 지원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면 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국의 무기 재고를 채워주는 방식으로 도울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 인도가 중국을 제치고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가 됐습니다. 평균 나이가 적고 출산율도 높아 압도적인 '인구 대국'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중국은 60년 만에 처음으로 인구가 줄었습니다. 생계비용이 늘고 사회생활에 관심이 큰 여성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 테슬라의 실적이 공개됐습니다. 계속해서 무리하게 가격 경쟁에 나서며 수익성이 악화하는 것 아니냐는 불안이 커졌는데, 예상대로였습니다. 1분기 마진율은 19.3%를 기록해 시장이 예상한 22.4%를 밑돌았는데요. 영업이익은 1년 전보다 26%나 급감했고, 순이익도 24% 줄었습니다.
● 실리콘밸리은행 사태 이후에도 높은 수요로 인해 미국의 소비자물가가 여전히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가운데 5월 FOMC 이후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 민주당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자금 마련과 전달에 핵심 역할을 한 것으로 지목된 강래구 한국감사협회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습니다. 송영길 전 대표에 대한 수사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검찰은 추가 진술이나 물증 확보를 위해 수사에 속도를 낼 방침입니다.
● 민주당내에서는 송영길 전 대표의 조기 귀국을 압박하는 비판의 목소리와 함께탈당 권고, 출당 조치 요구도 나오고 있습니다. 송 전 대표는 모레 프랑스에서 기자회견을 하겠다는 입장만 거듭 확인했습니다.
● 국민의힘 소속 국회의원과 당협위원장의 여성 배우자들이 남편 이름의 명찰을 단채 워크숍을 개최해 입방아에 올랐습니다. 특히, 정치 활동을 하는 배우자의 '내조'를 강조한다는 점 등에서 시대착오적인 행사라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 홍준표 시장이 TK 신공항을 평가절하한 윤희숙 전 의원을 겨냥했습니다. 홍 시장은 "땅 투기 혐의로 의원직을 사퇴한 사람이 조용히 반성하며 살 줄 알았더니 요즘 부쩍 언론에 나타나 좁은 식견으로 좌충우돌하고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 유승민 전 의원이 "믿고 싶지 않은 여론조사도 있겠지만, 한국갤럽 정도면 공정하고 과학적이지 않을까요?"라고 했습니다. 유 전 의원은 최근 윤석열 대통령이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을 언급한 걸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으로 보입니다.
● 이상기후, 비행기 길도 위협해진다→ 기후변화로 제트기류(Jet Stream)가 약해지면서 항공기가 난기류를 만나게 될 가능성이 ‘30년 내 2배’ 될 것으로 예측
● 일 원전 오염수방류, 최인접국 한국의 확인 필요→ 일본의 방류가 3∼5년 후 우리 해역에 유입될 것이지만 그 양은 측정하기조차 어려운 극미량이다...일본이 처리 기준만 지킨다면 큰 문제가 없다.그러나 최인접국인 한국의 검증과 신뢰를 얻는 노력이 부족했다.우리 정부의 역할이 필요한 부분이다.(문화, 정재준 부산대 교수·원자력시스템 전공)
● 한국철도공사는 수원역에서 전동휠체어 이용 장애인이 예매한 열차에 탑승하지 못한 것에 대해 공식 사과했습니다. 해당 장애인은 무궁화호의 장애인석을 예약하고 리프트 이용까지 신청했지만, 입석 승객이 많다고 탑승을 거부당했습니다.
● 경기도 동탄에서도 전세 사기 신고가 50건 넘게 접수됐습니다. 앞서 대통령이 피해 주택에 대한 경매를 중단하라고 지시했지만 다음날 집이 낙찰돼 쫓겨나게 된 피해자가 나왔습니다. 정부는 오늘(20일)부터 금융권에 피해 주택의 경매 절차를 유예하도록 요청했습니다.
● 여신도를 성폭행한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진 JMS 총재 정명석 씨가 재판에서 바보 행세를 하며 억울함을 호소했습니다. 정명석은 추가로 구속영장이 나온 것에 대해 “귀가 잘 안 들리고 기억력도 없는 상황“이라고 하소연했습니다.
● 마약이 공공 연하게 유통되면서 수사를 받는 마약사범도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적발 인원만 만8천여 명으로 역대 최다였습니다. 덩달아 마약 사건 변론을 전문으로 하는 변호사도 늘고 있는데요. 의뢰인의 감형을 위해 수사기관에 제공할 다른 마약사범 정보를 '부당 거래'한 변호사가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 출근하던 20대 여성이 뺑소니 음주운전 차량에 치여 중태에 빠졌다는 소식 전해드렸었죠. 알고 보니 운전자는 보험에도 가입하지 않은 무보험 차량을 몰고 음주운전을 하다 사고를 낸 걸로 드러났습니다.
● 넷플릭스가 계정 공유 유료화를 2분기로 연기했습니다. 구독자 중 43%인 1억 가구 이상이 계정을 공유하고 있는 넷플릭스는 1분기 실적이 시장 전망치를 밑돌고 공유 유료화 테스트를 한 지역에서 구독자가 줄어들자 결국 속도 조절에 나섰다고 합니다.
● 최근 투신이나 마약 투약 과정 등을 SNS로 생중계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SNS 라이브 방송은 방송법 규제 대상이 아니어서 모방범죄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한 번에 12만 명이 투약할 수 있는 멕시코산 필로폰을 국내에 몰래 유통한 마약 조직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이 조직의 총책은 필리핀 수용소에 수감된 상태에서도 휴대전화 하나로 범행을 지시한 걸로 조사됐습니다.
● 봄철 나들이객 증가에 맞춰 정부가 대대적인 교통법규 위반 단속에 나섭니다. 정부는 오늘부터 다음 달 31일까지 7주간을 '음주운전 특별 단속기간'으로 정해 주·야간 일제 단속을 벌인다고 밝혔습니다. ● 수능 시간 3분은 ‘700만원 가치’→ 2021학년도 대학수능 한 고사장에서 감독교사의 실수로 종료종이 3분 일찍 울려.피해자들이 낸 국가에 배상 소송에서 법원, 국가가 1인당 700만원씩 배상하라 판결.(동아)
● 자장면과 칼국수 등 대표 외식 품목 가격이 1년 전보다 10% 이상 뛰었습니다. 소비자원 가격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3월 5,846원이었던 자장면은 지난달 6,800원으로 16.3% 올랐습니다. 삼계탕 1그릇 가격은 1만 4,500원에서 1만 6,346원으로 12.7% 뛰었고, 삼겹살 200g도 12.1% 올랐습니다.
● 혈액암 투병중인 배우 안성기씨가 제 4회 4.19 민주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됐습니다. 지난해 9월 병세가 깊은 모습으로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내 많은 이들의 우려를 산 가운데, 이날 시상식에서는 건강을 크게 회복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 학창시절 겪었던 학폭 피해를 털어놓는 일은 그동안 용기가 필요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드라마 ‘더 글로리’ 등을 계기로 학폭 가해자의 실명과 근황 사진까지 담은 동영상으로 학폭 피해를 고발하는 적극적인 자세로 변모하고 있습니다.
===단독 기사 모음===
*윤석열 정부*
[단독] "개성공단에 中 끼면 일 커진다" 정부 초강력 경고 배경_중앙일보
[단독] 한·미 항공우주분야도 맞손… ‘첨단기술 협력’ 세일즈_세계일보
[단독] 국정원, 화웨이 등 국제사회 제재 품목 첫 전수조사_서울경제
[단독] 기관총탄 430만 발, 폴란드 간다_SBS
*정치*
[단독]“돈봉투 자금 9400만원 외 더 있다고 들었다”_동아일보
[단독] 이정근 변호인 “李, 민주 꼬리 자르기에 배신감”_세계일보
[단독]`꼼수탈당` 민형배 복당 임박…민주당, 공식논의 착수_이데일리
[단독] 이성만, 압수수색 직후 “돈 받은 기억 없다” 조택상에 전화_채널A
[단독] "오면 밥값 없다 얘기해 놔"…녹취파일에 등장하는 '스폰서'_JTBC
[단독] 돈봉투 의혹 녹취서 '스폰서' 등장…당선 후 이재명 캠프에 자녀 근무_JTBC
[단독] 강래구 재소환…'뇌물' 혐의 더해 영장 청구 검토_SBS
[단독] 권리당원 강화 새 기준 마련…'팬덤 정치 '우려도_SBS
[단독] 김인섭, 정진상 통해 이재명과 소통 정황…"사장이 잘 파악"_TV조선
[단독] 김인섭 옥중편지 보니, '백현동 사업' 관여 정황_TV조선
[단독] “김인섭, 구치소 동기 조우형에 ‘백현동 계약서’ 검토 부탁”_국민일보
[단독] 정진상, 김인섭 수감 당시 두 차례 ‘특별 면회’_조선일보
[단독] 담배 피운 벤치 사진 제출하고, 집 구조 그리고… ‘디테일 싸움’ 된 법정_국민일보
[단독] "'천화동인 6호' 조우형, 차명 대가로 조현성에 배당금 10% 약속"_한국일보
[단독] 3년 전 이석기 석방 차량시위…실제는 ‘국정원 포위 작전’이었다_조선일보
[단독] 이게 말이 돼?…해외여행자제국 케냐, 경기도의원 10명 출장_헤럴드경제
[단독] 의원 법안 58%, 비용추계서 안 내… 유사법안 ‘복붙’ 수준 제출도_동아일보
[단독] 목표 1천호, 실적 7호…반지하 매입 정책 '헛바퀴'_SBS비즈
[단독] 침수에 화들짝…반지하 없앤다던 서울시, 겨우 64채 샀다_머니투데이
[단독] 구멍가게 규모로 운영한 부산시의 ‘신공항 추진본부’_브릿지경제
[단독] "北, 中사업가에 개성공단 사진 뿌려…사실상 투자 유치"_중앙일보
*사회(사건·사고)*
[단독] "네이버 안심거래라더니…" 중고 명품백 사려다가 당했다_한국경제
[단독] 대체 근무 일지 위조해 몰래 수당 챙겨온 코레일네트웍스 직원들_조선일보
[단독] 또 터진 전세사기 공포…‘부부 빌라왕?’ 잠적_KBS
[단독] 부산서 또 ‘집단 전세사기’ 터졌다…피해자들 “중개사도 한패”_헤럴드경제
[단독] “집주인 주소가 벌판” 부산 대형 전세사기 또 터지나_부산일보
[단독] 대통령 중단 지시에도 낙찰… “경매날 다가올수록 피가 말라”_서울신문
[단독] 생계비 받는 노조 간부가 영농법인 임원?…"전공노, 회계공개 거부 내로남불"_한국경제
[단독] 마약방 된 공부방…고3 셋이 판매 총책_채널A
[단독] 영화관 스크린에 사라져 가는 ‘부산’… OTT는 뜨거운 인기_부산일보
[단독] 위로 기대했는데…“술에 마약성 수면제 넣고 성착취”_채널A
[단독] 10대 노리는 ‘범죄 갤러리’…“성범죄 심각…2차 가해도”_채널A
[단독] 경찰, '우울증갤러리' 차단 요청…"추가 피해 우려"_JTBC
[단독] "보건실 가겠다"더니…여자화장실 '불법촬영' 시도한 고교생_JTBC
[단독] 미성년 성착취 의혹 '신대방팸' 리더 김피트 "범죄 없었다" 주장_여성신문
[단독] “뇌출혈 소견” 여학생, 현장정보 공유 안돼… 엉뚱한 병원에 이송_동아일보
[단독] 62억 들인 해양쓰레기 수거선, 항해사 없다고 수개월째 방치_서울신문
[단독] 전선만 달랑, 공사 중인데…"오피스텔 입주하라" 승인한 고양시_머니투데이
*사회(일반)*
[단독] 홍보 부족에… 점자판결문 이용 2년간 8건_세계일보
[단독] 젊은 층 마약중독 환자 급증…5년 새 두 배 넘게 늘어_뉴시스
*경제*
[단독] 미래에셋 '38조 연기금투자풀' 운용사 자격 잃나_서울경제
[단독] “빈집 늘어나게 생겼네”…공공분양도 미분양 5000가구 넘어_매일경제
[단독] 법제화 공회전에…유망 스타트업, 비대면 진료 접는다_서울경제
[단독] 제약사 불법 리베이트 500억…10년간 과징금 처분은 '달랑 6건'_MTN
[단독] 근저당 400건 넘게 이미 추심업체로…경매중단 가능할까?_MBN
[단독] 중개업자는 딸, 집주인은 동업자…'조직적' 전세사기 수법_JTBC
[단독] "하필 지금 왜?"...수원으로 이전하는 IR팀_한국경제TV
[단독] 한성인베스트먼트, 1290억 규모 수도권 알짜 부동산 매각_이코노미스트
[단독] 한수원, 공시 누락하고 238억 복지비…"꼼수 지급"_TV조선
[단독] 美 “싼 산업용 전기는 보조금”… “요금 정상화로 오해 없애야”_서울신문
[단독] "전자랜드도 트레이더스처럼"…유료 회원제 매장 '랜드500' 띄운다_뉴스1
[단독] 국내 첫 인공지능 액티브 ETF 나온다…타임폴리오, 내달 출시_조선비즈
[단독] 주택시장 ‘혼돈’…집단지성으로 해법찾기 나섰다_대한경제
===주요 인물 발언===
*윤석열 정부*
-尹 "민간인 대규모 공격시 우크라 재정 지원만 고집 못해, 군사 지원해야...초고성능 무기 개발해 北위협 대응 준비" "피로 지켜낸 자유민주주의, 사기꾼에 농락 당해선 안돼...민주주의, 돈 매수로 도전 받을 수도"
-대통령실 "러시아 언급은 가정적 상황 대한 것...코멘트 않겠다"
-한덕수 "광양산단에 신산업 입주 쉽게...이차전지 소재 4차 투자"
*국민의힘*
-김기현 "김구, 대한민국서 가장 존경받는 지도자...승계 위해 노력"
-박대출 "돈봉투 게이트 들불처럼 퍼지자 민주당 놀란 모양...민주당 '귀국 압박쇼', 속을 국민 있겠나"
-홍준표 "윤희숙, 그 입 다물고 정치권 기웃대지 마라...요즘 부쩍 좁은 식견으로 좌충우돌"
-김진태 "강원특별법 5월중 처리에 문제 없을 것...정부와 협의 마쳐 심사 문제 없도록"
-권성동 "돈봉투 살포 관련 인사들 '더 불어'야...국민 지탄 높아지자 사과 시늉"
-안철수 "신당 만들어지면 여당에 불리한 구도...尹, 기대대로 하고 있는지 생각해봐야"
-이용 "김건희, 내조 정말 잘 하신다...나무랄 데 없으신 것 같다"
-이준석 "신당 창당 고민한 적 없다...반란군 제압하고 싶은 생각밖에 없어" "연판장이나 돌리고 있는 사람들, 완전 학교 폭력 아닌가...저는 총선 나가고 노원구 출마는 상수"
-김성태 "전광훈 발언은 가관...당과 완벽하게 결별 중"
-윤희숙 "홍준표, 檢 출신이 사실왜곡...꼰대 기질 자랑하시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우크라 군사지원 결단코 안 될 일...尹 재고해야"
-고민정 "송영길, 떳떳하다면 피할 이유도 미룰 이유도 없다...잘못 있으면 사죄해야"
-홍익표 "3선 지역구 내려놨는데 눈치 보겠나...차기 총선은 혁신과 변화"
-이수진(비례) "사립대 장애인 의무고용, 5년 평균 1.92% 불과...부담금으로 책임 다한 것 아냐"
*기타*
-김종인 "금태섭 신당, 30석 가능성 있다...젊은 세대와 양당에서 합세"
-조국 "앞으로 자연인으로 살 것...총선 출마? 말씀드리기 곤란"
*국제*
-제임스 클리버르 英외무장관 "中과 관계 끊으면 안된다...양자택일 불가능, 흑백논리 경계"
-로버트 케네디 Jr. "대선 출마할 것...바이든 지지표 일부 흡수"
-빅터 차 美CSIS 부소장 "韓 우크라 무기 제공 정책 전환? 판단 너무 이르다...러, 이미 韓 교전국으로 보고 있어, 남북관계 영향은 없을 것"
#카카오선물하기추천제품 #카카오선물하기 #컨피앤넛 #견과류&커피 #어버이날선물 #어버이날선물추천 #어버이날추천선물
https://gift.kakao.com/product/6905018
하루의 시작을 함께하는 ! 커피앤넛 선물세트(드립커피5매+다크초코아몬드믹스넛180g)
하루의 시작을 함께하는 ! 커피앤넛 선물세트(드립커피5매+다크초코아몬드믹스넛180g)
지금 카카오톡 선물하기에서 14,900원
gift.kakao.com
'이것만 보셔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424(월) 유니드 뉴스브리핑 (0) | 2023.04.24 |
---|---|
230421(금) 유니드 뉴스브리핑 (1) | 2023.04.21 |
230418(화) 유니드 뉴스브리핑 (0) | 2023.04.18 |
230414(금) 유니드 뉴스브리핑 (feat. 행복한 주말 되세요~!) (0) | 2023.04.14 |
230413(목) 유니드 뉴스브리핑 (d+15) (0) | 2023.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