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421(목) 뉴스브리핑
★★04월 21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경 제》
☞車사고 난 운전자 83%는 "내가 피해자"...교통사고 후 과실비율 분쟁 심의를 청구한 운전자 10명 중 8명(82.8%)은 "내가 피해자"라고 주장한다는 통계가 나왔다. 손해보험협회는 '자동차 사고 과실비율 분쟁 심의위원회' 심의 결정 데이터를 분석·선별해 '숫자로 보는 자동차 사고 과실비율'을 20일 공개했다.
☞코로나 현금성 손실보상 33조~35조 전망…2차 추경 '35+α'조원 이를 듯...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다음 달 10일 취임 후 발표될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위한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안 관련,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약 33조~35조원 수준의 현금성 보상을 검토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고채 금리 대체로 하락…3년물 연 2.957%...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2.4bp(1bp=0.01%포인트) 내린 연 2.957%에 장을 마쳤다...10년물 금리는 연 3.313%로 3.7bp 하락했다. 5년물과 2년물은 각각 0.9bp, 2.4bp 하락해 연 3.203%, 2.758%에 마감했다.
☞'규제 사각지대' 조각투자 플랫폼도 금융당국 감독 받는다...증선위 "뮤직카우 저작권료 참여청구권은 증권" 판단...'투자계약증권' 인정 첫 사례…13년만에 증권 개념 확장...외부예치·피해보상체계 등 갖춰야 정상영업…유사 플랫폼들도 '비상'
《금 융》
☞위닉스, 서큘레이터 첫 출시…냉방가전 시장 진출...공기청정기와 제습기 등에 강세를 보이는 위닉스가 냉방가전 시장에 진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동원산업·동원엔터프라이즈 합병추진에 소액주주 "불공정" 반발...합병비율 산정 논란…시민단체 "최대주주 등에 유리" 주장
☞제도권 안으로 들어온 '저작권 조각투자'…합법화 길 열리나...금융당국, 뮤직카우 저작권료 투자 '증권'으로 판단...'저작권료 청구권' 주식과 유사 발행·유통 동시운영은 금지 방침...투자자 피해 우려로 제재는 유예 10월까지 사업구조 변경 보고해야 기준 안되면 영업정지 당할 수도
☞2차전지 소재주, 다시 달릴 준비...에코프로비엠 등에 긍정적 전망...증권가 "가격 전가로 실적 개선"증권가에서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등 코스닥 2차전지 소재주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높은 가격 전가력과 줄어들지 않는 소재 수요 등으로 실적이 빠르게 개선될 것이란 이유에서다.
《기 업》
☞美뷰티업체 품은 LG생건, 북미 공략 강화...크렘샵 1500억원에 사들여 재미교포 설립, K뷰티로 인기 연매출 3년간 30%씩 성장...LG생건 美 회사 인수 잇달아 어려운 中 대신 미주사업 집중
☞車전장 힘싣는 LG전자…멕시코에 부품공장...마그나와 합작법인 설립해 GM 탑재 구동모터 등 생산 북미 車부품시장 교두보 마련...조주완 사장 직접 진두지휘 인포테인먼트·조명 3각축 전장사업 올 매출 9조 기대
☞정의선·신동빈, 전기차 충전사업 손잡았다...현대차·롯데·KB자산운용 연내 합작법인 설립 합의...초고속 충전기 5천대 설치키로 백화점·현대차 대리점 등 활용 충전 사업자에 임대하는 방식
☞렌탈업계 영토확장…헬스·뷰티서 금맥 캔다...2년간 코로나 특수로 호실적 정수기·공기청정기 중심에서 새로운 먹거리로 다양화 추진...교원, 상반기 헬스바이크 출시 실시간 수업·1대1 의료상담도...현대, LG 손잡고 전극패드 대여 목·어깨·무릎 등 만성통증 완화 청호는 건기식 구독 진출채비
《부 동 산》
☞직주근접 통했다…'힐스테이트 세운 센트럴' 청약 조기 마감...이 단지는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됐지만 전용 59㎡ 분양가가 최고가 기준 10억 5720만 원이었다. 현행 제도상 분양가가 9억 원을 초과하면 중도금 집단대출이 나오지 않는다. 그럼에도 청약 흥행에 성공한 요인으로는 ‘입지’가 꼽힌다.
☞"거실에 슈퍼카 주차 가능"…350억원 청담동 아파트 팔렸다...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최근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지어지고 있는 최고급 공동주택 '워너(ONE.R) 청담'의 슈퍼펜트하우스 전용면적 497㎡가 350억원에 분양됐다. 분양이 시작된 지 약 5개월 만이다.
☞운정·검단 당첨 점수, 서울보다 높았다...제일풍경채 커트라인 64점 검단 힐스테이트 60점대 당첨...초역세권에 실거주 의무 없어 수도권 고가점자들 대거 몰려
☞재건축 멈춘 둔촌주공…금융권, 2조1000억원 대출 놓고 고심...내달 중순 분수령…계약해지 땐 소송전..."가장 큰 피해자는 6000여 일반 조합원"
《사 회 유 통》
☞디아이지에어가스㈜, 구미 5산단 내 제조공장 신축에 700억원 투자...구미시와 디아이지에어가스㈜는 구미시청에서 구미 5국가산업단지 내에 산업용가스 제조공장 신축에 700억원을 투자한다는 내용의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무거운 첫 출발…신혼부부 평균 빚 1억3천만원...집값과 전세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신혼부부들이 첫출발 때부터 1억3000만원가량 빚을 지고 결혼 생활을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中코로나 봉쇄에…낙지 명태 재첩식당 '수산물 대란'...재료없어 포장판매 중단도...조기 가리비 가자미 백합 3월 中서 수입 물량 전무 명태 51%·낙지 34% 줄어 공급 급감에 수입가격 쑥
《국 제》
☞"3톤 짜리 하늘서 '뚝' 모두 파괴"…아내와 통화 러 장교 언급한 '3톤'의 정체...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군이 남부 항구도시 마리우폴에 있는 아조우스탈 제철소를 전면 파괴할 것이라는 내용이 공개돼 충격을 주고 있다.
☞입장권 90% 할인까지…제로코로나에 中 관광업 휘청...하이난·윈난·내몽고 등 관광객 50% 급감...항공편 22년만 최저치·호텔 80%이상 비어...관광산업 위축으로 GDP 0.5%P 감소 예상
☞넷플릭스 "1억가구 이상 공유계정 사용"…과금 추진한다...세계 최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넷플릭스가 전 세계 1억 가구 이상으로 추정되는 공유 계정에 대해 과금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미 CNBC 방송이 보도했다...넷플릭스는 이날 주주들에게 보낸 분기 서한에서 가입자 성장기에는 계정 공유를 묵인해 왔지만, 11년 만에 처음으로 가입자가 감소하는 등 상황이 변했다면서 공유 계정 상대로 과금에 나설 계획임을 밝혔다.
☞무려 1조원짜리 급여 패키지...미국 광고 기술회사 트레이드데스크의 제프 그린 최고경영자(CEO)가 지난해 8억3500만달러(약 1조357억원)의 급여 패키지를 받았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이는 지금까지 지난해 CEO 보수를 공개한 S&P500 기업 중 가장 많은 금액이다.
📮 4월 21일 목요일 간추린 아침뉴스입니다.
● 오늘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사흘 만에 10만 명을 밑돌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유행 감소세가 안정적으로 이어진다고 판단하고 다음 달 초 실외 마스크 해제 여부를 결정하고, 유치원과 모든 학교의 등교도 정상화하기로 했습니다.
● 민주당이 검찰 수사권 완전폐지 법안 처리에 속도를 내기 위해 민형배 의원을 탈당시키고 무소속 법사위원에 배치했습니다. 법사위에 배치한 자당 출신 무소속 양향자 의원이 반대 의사를 밝힌 데 따른 조치로, 국민의힘뿐만 아니라 정의당 역시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 민주당이 법안 처리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검찰은 대응 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중간 간부인 부장검사 대표들도 오늘 새벽까지 회의를 했습니다. 앞서 회의를 했던 전국 평검사 대표들은 민주당이 강행 추진하고 있는 검수완박 법안은 범죄 방치법이 될 거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 민주당 송영길 전 대표와 박주민 의원의 서울시장 후보 공천 배제 문제로 내홍이 격화하고 있습니다. 계파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오르는 양상까지 보이면서 비대위가 심야 긴급회의를 열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선 이후 처음으로 호남 지역을 찾아 지역과 국가경제 활성화를 위해 각종 규제를 대폭 완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방한 중인 성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도 만나 외교 행보에도 시동을 걸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이 취임 후 사용할 관저로,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이 아니라, 외교부장관 공관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취임을 20일 앞두고 재검토에 들어가면서, 졸속 이전이란 지적이 다시 나오고 있습니다.
● 러시아군에 포위된 요충지 마리우폴이 곧 함락될 것이라고 우크라이나군 현장 지휘관이 전했습니다. 핵무기 사용 위협 속에 러시아가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의 2천 배에 달하는 위력을 가진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는 차세대 대륙간탄도미사일을 처음으로 시험발사했습니다.
● 어제저녁 대구에서 산불이 나고, 경남 창원에서도 근린공원에서 불이 나는 등 화재가 잇따랐습니다. 관할 소방서 장비와 인력을 모두 동원하는 대응 1단계가 발령돼 큰 불길을 잡았지만, 오늘도 곳곳에 건조특보가 발효되고 바람도 강하게 불어 화재에 유의하셔야겠습니다.
● 젊은 층을 중심으로 미술품과 같은 고가의 자산에 소액으로 투자하는 이른바 '조각투자'가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음악 저작권 조각투자 업체인 '뮤직카우'가 금융당국으로부터 신규상품 판매 금지 조치를 당했습니다. 주식 같은 증권과 유사한 상품이니 투자자 보호 등 규정을 지키라는 겁니다.
● 공정거래위원회가 주방가전업체 쿠첸에 대해 9억여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법인과 직원을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습니다. 하도급 업체가 단가 인상을 요구하자 기술자료를 빼돌려 경쟁 납품 업체에 넘긴 혐의인데, 쿠첸은 결국 피해 업체와의 거래도 끊었습니다.
● 한국소비자원이 시중에 유통되는 유채유와 겨자유 등 30개 제품의 '에루스산' 함량을 조사했더니 4개 제품이 유럽연합 기준치를 초과했습니다. '에루스산'은 유채씨에 있는 지방산으로, 함량이 높으면 동맥경화나 심장질환을 일으킬 수 있어 국제적으로 5% 이하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 국내 제지 기업이 일제히 종이 가격을 올립니다. 해상 운임이 오르고 국제 펄프 가격이 치솟는 탓에 원가 압력이 갈수록 심해져서 한계에 봉착했다는 판단에선데요. 한솔제지는 다음 달부터 출고하는 일반 인쇄용지 가격을 15퍼센트 올리기로 결정했습니다. 주요 제지 업체가 종이 가격을 올리면서 관련 제품은 물론 배달 제품에 쓰이는 포장재 가격 인상으로 배달비마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 코로나19 영향을 받은 최근 2년 사이 대기업 간에도 연봉 격차가 더 벌어진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정보기술과 전자 업종의 임금 성장세는 가팔랐던 반면 도·소매와 식품 관련 기업들의 보수는 제자리걸음을 한 결과인데요. 매출액 상위 80대 기업의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평균 임금이 가장 높은 카카오와 가장 낮은 동원F&B 간의 평균 연봉 차이는 약 1억 3천 원이었습니다.
●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설계 수명이 다한 원자력발전소의 계속운전 신청 시기를 앞당기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설계수명 만료일에 임박해서 계속운전을 신청하다 보면 안전성 평가와 심사 기간을 지키기 위해 원전 운영을 중단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인데요. 제도 개선이 이뤄지면 새 정부에서는 총 18기의 원전에 대한 계속 운전 신청이 가능해지지만, 신청 기한이 확대될 경우 원전 계속운전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어서 안전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 코로나19 이후 20·30대 등산족들이 늘었는데요. 등산복의 기능성만큼이나 디자인도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아웃도어 업체 6곳의 매출은 1년 새 최대 26% 늘었는데요. 그 중 매출 상승 폭이 컸던 한 업체에서 완판될 정도로 화제가 된 제품은, 아웃도어 의류에는 잘 쓰이지 않는 올챙이 모양의 페이즐리 무늬에, 기장이 짧은 재킷이었는데, 특히 젊은 층의 반응이 뜨거웠습니다.
● 코로나19로 대형마트 시식 행사나 백화점 화장품 테스터 사용, 향수 시향 등이 금지됐었는데요. 다음 주 월요일부터는 가능해집니다. 정부가 거리두기 조치를 전면 해제하면서 오는 25일부터는 대형마트에서 시식이 허용되고요. 백화점이나 생활용품점에서는 화장품을 직접 발라보거나 향수를 뿌려보고 구매할 수 있게 됩니다.
● 집을 담보로 매달 연금을 받는 주택연금 가입이 다시 늘고 있습니다. 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주택연금 신규 가입액은 약 85조 2천억 원으로 1년 새 10조 원 넘게 증가했습니다. 집값이 급등하던 재작년에는 중도 해지율이 치솟기도 했지만 이제는 상황이 달라진 건데요. 올 초부터 지급액이 늘어나는 등 혜택이 확대된 점도 가입자 증가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입니다.
● 커피 전문점 '스타벅스코리아'의 선불 충전금이 지난해 3,4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유효기간 안에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선불 충전금의 유효기간은 최종 충전일이나 사용일로부터 5년인데요. 유효기간이 지나면 매장에 직접 방문해 새로운 카드를 발급받아 잔액 옮겨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 선불 충전금에는 이자가 붙지 않고요. 예금자 보호 대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업체인 넷플릭스가 공유 계정에 추가로 요금을 매기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넷플릭스의 올해 1분기 전 세계 유료 회원은 2억 2,164만 명으로 지난해 4분기보다 20만 명 줄었습니다. 업체는 인플레이션과 우크라이나 사태 등 여러 요인이 영향을 끼쳤다면서도 주요 원인으로는 시장 경쟁이 치열해진 점과 가입자들의 계정 공유를 꼽았습니다.
● 농촌 시군들이 저마다 젊은 귀농인 유치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충남 공주시는 오히려 나이든 은퇴자 유치에 나서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은퇴자를 주목한 것은 젊은 귀농인 유치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귀농을 하자면 주택과 농지가 있어야 하는데 세종시에 인접해 땅값이 비싼 공주는 귀농 여건에서 불리합니다. 그래서 전략을 바꿔 타지역이 관심을 갖지 않는 은퇴자 유치에 착안했습니다.
● 생활 전반에 'MBTI'를 적용하는 2030을 겨냥한 유통업계의 마케팅이 더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GS25가 새로 선보인 맥주는 4종의 캔 양면에 E, I, N, S 등 각기 다른 알파벳이 적혀 있어 4개씩 조합하면 요즘 유행하는 MBTI를 표현할 수 있는데요. 2~30대의 큰 호응을 얻어 출시 5일 만에 17만여 개가 판매됐다고 합니다. 워커힐 호텔앤리조트는 계획적이며 다소 조용한 'ISTJ' 유형에게 사우나와 웹툰 대여 서비스를 추천하는 등 MBTI 유형별 맞춤 호캉스 패키지를 선보인다고 합니다.
※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심리유형검사)
[출처:간추린 아침뉴스]
[오늘의 주요 일정] '회계부정·부당합병'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공판
2022년 4월 21일
■ 분야별 주요 일정
[정치]
▲ 대통령
신임 한국은행 총재 임명장 수여식(11:00 청와대)
▲ 국무총리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14:30 한국과학기술회관)
▲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10:00 본관 403호)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정보통신방송법안심사소위원회(16:00 본관 627호)
▲ 더불어민주당
블루스타트포럼 발족식(14:00 중앙당사 4층 대회의실)
박홍근 원내대표,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 출연(07:30)
박홍근 원내대표, 정책조정회의(09:30 국회 본관 원내대표회의실)
박홍근 원내대표, 연합뉴스TV <뉴스1번지> 출연(16:00)
박홍근 원내대표, 검찰정상화를 위한 유튜버 라이브 간담회(21:00 델리민주 라이브)
▲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 최고위원회의(10:00 국회 본관 228호)
이준석 대표, 하워드 캐튼 ICN(국제간호협의회) CEO 접견(11:30 국회 본관 228호)
이준석 대표, 윤주경 의원 주최, <윤봉길 의사 상해 의거 90주년 기념 대토론회>(14:00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
이준석 대표, 김미애 의원 주최, <저출생 정책을 진단하고 제안한다> 토론회(14:00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
이준석 대표, 더불어민주당의 '검수완박' 법안 강행처리 저지를 위한 당대표-중진의원 연석회의(15:00 국회 본관 228호)
이준석 대표, cpbc 라디오 <오창익의 뉴스공감> 출연(17:25)
권성동 원내대표, 최고위원회의(10:00 국회 본관 228호)
권성동 원내대표,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10:00 국회 본관 430호)
권성동 원내대표, 윤주경 의원 주최, <윤봉길 의사 상해 의거 90주년 기념 대토론회>(14:00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
권성동 원내대표, 김미애 의원 주최, <저출생 정책을 진단하고 제안한다> 토론회(14:00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
권성동 원내대표, 이명수 의원 주최, <기후위기에 따른 자연재난 대응, 새 정부에 바란다> 세미나(14:00 국회도서관 소회의실)
권성동 원내대표, 펫밀리×정부 반려동물?동물복지 정책간담회(14:00 국회 의원회관 제1간담회실)
권성동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의 '검수완박' 법안 강행처리 저지를 위한 당대표-중진의원 연석회의(15:00 국회 본관 228호)
▲ 정의당
대표단회의(09:30 국회 본관 223호)
여영국 대표,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단식농성장 방문(10:00 국회 정문 앞)
여영국 대표, 정의당 부산시당 지방선거 승리 전진대회(19:00 민주노총 부산지역본부)
배진교 원내대표, 검찰개혁 관련 정의당 입장 기자회견(09:00 국회 소통관)
[한반도]
▲ 국방부, 주한 가나 대사 접견(10:00)
[경제]
▲ 김재신 공정위 부위원장·도규상 금융위 부위원장, 차관회의(10:30 정부서울청사)
[산업]
▲ 산업부, 수소 업계 간담회 및 현장방문(13:30 LG화학 여수공장)
▲ 산업부, 수출입물류 현장방문(14:45 평택항)
▲ 농식품부, 한우산업 현장점검(14:00 충남)
▲ 대한상의, 제9차 대한상의 ESG경영 포럼(07:30 대한상의 EC룸)
▲ 주한미국상의, 국내 기업환경 세미나(09:00 여의도 콘래드호텔)
▲ 대한건축사협회, 대통령실 이전과 용산지역 발전방안 토론회(14:00 더케이호텔서울)
[IT의료과학]
▲ 과기정통부, NET sec-KR 2022 개회식(11:00 코엑스)
▲ 과기정통부, 월드IT쇼 전시관 참관(13:00 코엑스)
▲ 과기정통부, 예타 총괄위원회(14:00 서울중앙우체국)
▲ 과기정통부, 전기차배터리 연구현장방문(14:00 그린파워)
▲ 과기정통부,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14:30 한국과학기술회관)
▲ 과기정통부, 과학의 날 특별강연(17:00 슈피겐홀)
▲ 방통위, 국회 과방위 법안소위(16:00 국회)
▲ 김창룡 방통위 상임위원, 차관회의(10:30 정부서울청사)
▲ 김현 방통위 상임위원,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15:00 한국과학기술회관)
[사회]
▲ '회계부정·부당합병'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1심 속행 공판(10:00 서울중앙지법 417호)
▲ '옵티머스 자금수수' 해덕파워웨이 소액주주 대표 2심 1회 공판(10:30 서울고법 502호)
▲ '당내 경선 개입' 조광한 남양주시장 2심 1회 공판(10:30 서울고법 302호)
▲ '공정위 조사 방해' 현대중공업 임직원 1심 1회 공판(11:20 서울중앙지법 513호)
▲ '75억 횡령·배임' 홍문종 전 의원 2심 속행공판(15:00 서울고법 502호)
▲ '연인 19층서 밀어 살해' 30대 1심 결심 공판(15:30 서울중앙지법 523호)
▲ DNA 검사로 붙잡힌 22년전 성폭행·살인범 전모씨 2심 속행 공판(15:30 서울고법 404호)
▲ '허위 재산신고' 양정숙 의원 2심 1회 공판(16:50 서울고법 302호)
▲ 대한변협, 형사소송법·검찰청법 개정안에 대한 검토 및 개선 방안에 대한 긴급 토론회(14:40 온라인웨비나)
▲ 대법원 전원합의체 선고(14:00 대법정)
▲ 전장연, 제27차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07:00 3호선 경복궁역·2호선 시청역·5호선 광화문역)
▲ 전장연 등, 420장애인차별철폐 투쟁결의대회 마무리 보고대회(10:00 고궁박물관 남측 인도)
▲ 동부지법, '115억 횡령' 강동구청 공무원 공판 기일(10:00 401호)
▲ 홍익대 미대 A교수 파면을 위한 공동행동, A교수 해임 환영 기자회견(10:00 홍익대 정문 앞)
▲ 한국교통장애인협회, 지하철 시위 중단 촉구 집회(11:00 국회의사당역 4번 출구 앞)
▲ 국민대, '코로나19 안녕, 총장 캠퍼스 간식 전달식'(12:30 국민대 성곡도서관 앞)
▲ 동부지법, 50만원 받고 이석준에게 개인정보 넘긴 흥신소 업자 선고(14:00 203호)
▲ 서울시청,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 현장 기자설명회'(14:00 세운상가 지하1층 세운홀 및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정책사회]
▲ 교육부, 전국 시도교육장 영상회의(10:00 정부서울청사)
▲ 서울교육청, 자전거 이용 문화 활성화 및 평생 체육기반 구축 업무협약(10:30 서울시교육청 906호)
▲ 서울교육청, 2022 기후변화주간 '기후행동 나가자' 공동선언(16:00 영상)
▲ 행안부, 국민안전관리 상황보고회(09:00 상황실)
▲ 행안부, 정부혁신추진협의회 1차회의(14:00 정부서울청사 12층 중회의실)
▲ 여가부, 중앙성별영향평가위원회(14:00 정부서울청사 17층 대회의실)
▲ 노동부, 장애인 고용증진협약 선언식(14:00 성남)
▲ 환경부, 열분해실증시설 점검(15:00 수도권매립지공사)
▲ 복지부, 자활사업장 현장방문(15:30 송파지역자활센터)
[경기]
▲ 민주당 경기지사 경선후보 토론회(22:00 MBC 100분토론)
[경기북부]
▲ 고양 세계태권도품새선수권대회 개회식(17:00 킨텍스 2전시장)
[부산]
▲ 이수권 부산지검장 '검수완박' 관련 기자간담회(14:00 부산지검 회의실)
▲ 민주당 부울경 국회의원, 가덕신공항 관련 긴급 기자회견(14:30 부산시의회)
▲ 부산 금정산벨트 민주당 시의원 4인 합동 기자회견(11:00 부산시의회)
▲ 부산교육청, 학교 일상회복 추진 방안 발표(14:00 부산교육청)
▲ 부산시, 서부산 현장 전략회의(09:00 부산도서관)
▲ 부산시 2050 탄소중립 녹색성장 위원회(10:30 부산시청)
▲ 메타버스 분야 활성화 업무협약(14:30 부산시청)
▲ 2022 부산 창업박람회(10:00 벡스코)
▲ 김해 돗대산 129인 희생자 추모 및 항공안전을 위한 가덕신공항 조기준공 촉구 행사(10:30 돗대산 사고현장)
[울산]
▲ 박태완 중구청장, 재선 출마 기자회견(11:00 중구청)
▲ 울산시 공무직 노동조합 사무실 개소식(15:30 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사업소)
[경남]
▲ 노정연 창원지검장 기자간담회(10:30 창원지검)
▲ 민주당 경남지역 청년출
[주요 신문 사설](21일 조간)
▲ 경향신문 = 입각자들의 줄잇는 도덕성·자격 문제, 검증을 하긴 한 건가
'검수완박 처리용' 민형배 탈당, 민주주의 훼손하는 꼼수다
전장연의 지하철 시위 재개, 인수위가 책임있게 답해야
▲ 국민일보 = 검수완박 강행하려 '위장 탈당'까지 불사하는 민주당
공천 잡음에 계파 싸움까지…지방자치는 어디로 갔나
장애인 이동권 보장하고 더불어 사는 세상 만들어야
▲ 서울신문 = 민형배 꼼수 탈당으로 검수완박 강행하겠다는 건가
패배 반성 없이 공천 싸움까지, 정신 못 차린 민주당
코로나로 바싹 다가온 원격진료, 법제화 첫발 떼자
▲ 세계일보 = 순방 보류한 박 의장, '검수완박' 입법 적극 중재 나서라
서울시장 공천 놓고 계파 갈등 민주당 너무 한심하다
IMF, 저성장·고물가 경고…새 정부는 돈 풀기 자제해야
▲ 아시아투데이 = 새 정부, 경제논리로 경제난 극복에 전념해야
원청책임 지지한 대법, 산업안전 성찰 계기되길
▲ 조선일보 = 국회 장악 정당의 양심·이성 상실은 정쟁 넘은 국가적 사태다
원전 '수명 연장'이란 말 자체가 틀려, '면허 연장'이 맞는다
소득보다 3배 빠른 빚 증가, 2030세대 파산 막아야
▲ 중앙일보 = '검수완박' 위해 위장 탈당까지 동원한 민주당
민노총 폭주 못 막으면 한국 경제 미래도 없다
▲ 한겨레 = 평검사까지 성찰 없는 검찰, '무력시위'만 할 건가
'꼼수 탈당'까지 동원한 민주당의 '입법속도전'
한-미 정상회담 장소도 오리무중, 혼란의 집무실 이전
▲ 한국일보 = 변칙까지 동원한 '검수완박' 질주, 위험하다
취임 20일 남았는데 관저도 못 정했다니
민주당 공천 내홍, 언제까지 집안싸움할 텐가
▲ 디지털타임스 = 편법 얼룩진 '검수완박'…조기축구회 규칙도 이렇게 안한다
陳 전 부총리 "정부 리스크가 최대위험", 尹당선인 명심해야
▲ 매일경제 = 검수완박 위해 위장탈당까지…민주당 무리수 너무하다
민주노총 불법행위 공정위에 제보 봇물, 경찰은 그동안 뭐 했나
비대면진료, 코로나 이후에도 허용하는 길 트라
▲ 서울경제 = '장기 저성장' 극복이 숙제…정쟁과 포퓰리즘에 빠진 與野
최악 부채 넘겨받은 尹정부, 적자국채로 시작할 건가
위장 탈당 꼼수까지 동원한 '범죄 방치법' 강행 무리수
▲ 이데일리 = 대법원도 위헌 지적 '검수완박'…입법폭주 당장 멈춰야
먹구름 짙어진 한국경제. 퍼펙트 스톰 대비 이상 없나
▲ 전자신문 = 감사원 '감사 강화' 역효과 줄여야
디지털금융 전담 부처 고민을
▲ 한국경제 = 전방위 확산 공급망 위기, 개별 기업 대응 수준 넘었다
국회의원을 장기판 卒로 여기는 민주당…당명이 부끄럽지도 않나
겁주기 일변도 중대재해법, 합리적 개선 시급하다
▲ e대한경제 = 시멘트, 철근 대란에 멈춰선 건설현장, 수급대책 시급하다
여론이 반대로 기울었는데 '검수완박' 고집할 필요있나
[오늘의 주요 일정] '회계부정·부당합병'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공판
2022년 4월 21일
■ 분야별 주요 일정
[정치]
▲ 대통령
신임 한국은행 총재 임명장 수여식(11:00 청와대)
▲ 국무총리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14:30 한국과학기술회관)
▲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10:00 본관 403호)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정보통신방송법안심사소위원회(16:00 본관 627호)
▲ 더불어민주당
블루스타트포럼 발족식(14:00 중앙당사 4층 대회의실)
박홍근 원내대표,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 출연(07:30)
박홍근 원내대표, 정책조정회의(09:30 국회 본관 원내대표회의실)
박홍근 원내대표, 연합뉴스TV <뉴스1번지> 출연(16:00)
박홍근 원내대표, 검찰정상화를 위한 유튜버 라이브 간담회(21:00 델리민주 라이브)
▲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 최고위원회의(10:00 국회 본관 228호)
이준석 대표, 하워드 캐튼 ICN(국제간호협의회) CEO 접견(11:30 국회 본관 228호)
이준석 대표, 윤주경 의원 주최, <윤봉길 의사 상해 의거 90주년 기념 대토론회>(14:00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
이준석 대표, 김미애 의원 주최, <저출생 정책을 진단하고 제안한다> 토론회(14:00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
이준석 대표, 더불어민주당의 '검수완박' 법안 강행처리 저지를 위한 당대표-중진의원 연석회의(15:00 국회 본관 228호)
이준석 대표, cpbc 라디오 <오창익의 뉴스공감> 출연(17:25)
권성동 원내대표, 최고위원회의(10:00 국회 본관 228호)
권성동 원내대표,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10:00 국회 본관 430호)
권성동 원내대표, 윤주경 의원 주최, <윤봉길 의사 상해 의거 90주년 기념 대토론회>(14:00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
권성동 원내대표, 김미애 의원 주최, <저출생 정책을 진단하고 제안한다> 토론회(14:00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
권성동 원내대표, 이명수 의원 주최, <기후위기에 따른 자연재난 대응, 새 정부에 바란다> 세미나(14:00 국회도서관 소회의실)
권성동 원내대표, 펫밀리×정부 반려동물?동물복지 정책간담회(14:00 국회 의원회관 제1간담회실)
권성동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의 '검수완박' 법안 강행처리 저지를 위한 당대표-중진의원 연석회의(15:00 국회 본관 228호)
▲ 정의당
대표단회의(09:30 국회 본관 223호)
여영국 대표,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단식농성장 방문(10:00 국회 정문 앞)
여영국 대표, 정의당 부산시당 지방선거 승리 전진대회(19:00 민주노총 부산지역본부)
배진교 원내대표, 검찰개혁 관련 정의당 입장 기자회견(09:00 국회 소통관)
[한반도]
▲ 국방부, 주한 가나 대사 접견(10:00)
[경제]
▲ 김재신 공정위 부위원장·도규상 금융위 부위원장, 차관회의(10:30 정부서울청사)
[산업]
▲ 산업부, 수소 업계 간담회 및 현장방문(13:30 LG화학 여수공장)
▲ 산업부, 수출입물류 현장방문(14:45 평택항)
▲ 농식품부, 한우산업 현장점검(14:00 충남)
▲ 대한상의, 제9차 대한상의 ESG경영 포럼(07:30 대한상의 EC룸)
▲ 주한미국상의, 국내 기업환경 세미나(09:00 여의도 콘래드호텔)
▲ 대한건축사협회, 대통령실 이전과 용산지역 발전방안 토론회(14:00 더케이호텔서울)
[IT의료과학]
▲ 과기정통부, NET sec-KR 2022 개회식(11:00 코엑스)
▲ 과기정통부, 월드IT쇼 전시관 참관(13:00 코엑스)
▲ 과기정통부, 예타 총괄위원회(14:00 서울중앙우체국)
▲ 과기정통부, 전기차배터리 연구현장방문(14:00 그린파워)
▲ 과기정통부,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14:30 한국과학기술회관)
▲ 과기정통부, 과학의 날 특별강연(17:00 슈피겐홀)
▲ 방통위, 국회 과방위 법안소위(16:00 국회)
▲ 김창룡 방통위 상임위원, 차관회의(10:30 정부서울청사)
▲ 김현 방통위 상임위원,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15:00 한국과학기술회관)
[사회]
▲ '회계부정·부당합병'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1심 속행 공판(10:00 서울중앙지법 417호)
▲ '옵티머스 자금수수' 해덕파워웨이 소액주주 대표 2심 1회 공판(10:30 서울고법 502호)
▲ '당내 경선 개입' 조광한 남양주시장 2심 1회 공판(10:30 서울고법 302호)
▲ '공정위 조사 방해' 현대중공업 임직원 1심 1회 공판(11:20 서울중앙지법 513호)
▲ '75억 횡령·배임' 홍문종 전 의원 2심 속행공판(15:00 서울고법 502호)
▲ '연인 19층서 밀어 살해' 30대 1심 결심 공판(15:30 서울중앙지법 523호)
▲ DNA 검사로 붙잡힌 22년전 성폭행·살인범 전모씨 2심 속행 공판(15:30 서울고법 404호)
▲ '허위 재산신고' 양정숙 의원 2심 1회 공판(16:50 서울고법 302호)
▲ 대한변협, 형사소송법·검찰청법 개정안에 대한 검토 및 개선 방안에 대한 긴급 토론회(14:40 온라인웨비나)
▲ 대법원 전원합의체 선고(14:00 대법정)
▲ 전장연, 제27차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07:00 3호선 경복궁역·2호선 시청역·5호선 광화문역)
▲ 전장연 등, 420장애인차별철폐 투쟁결의대회 마무리 보고대회(10:00 고궁박물관 남측 인도)
▲ 동부지법, '115억 횡령' 강동구청 공무원 공판 기일(10:00 401호)
▲ 홍익대 미대 A교수 파면을 위한 공동행동, A교수 해임 환영 기자회견(10:00 홍익대 정문 앞)
▲ 한국교통장애인협회, 지하철 시위 중단 촉구 집회(11:00 국회의사당역 4번 출구 앞)
▲ 국민대, '코로나19 안녕, 총장 캠퍼스 간식 전달식'(12:30 국민대 성곡도서관 앞)
▲ 동부지법, 50만원 받고 이석준에게 개인정보 넘긴 흥신소 업자 선고(14:00 203호)
▲ 서울시청,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 현장 기자설명회'(14:00 세운상가 지하1층 세운홀 및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정책사회]
▲ 교육부, 전국 시도교육장 영상회의(10:00 정부서울청사)
▲ 서울교육청, 자전거 이용 문화 활성화 및 평생 체육기반 구축 업무협약(10:30 서울시교육청 906호)
▲ 서울교육청, 2022 기후변화주간 '기후행동 나가자' 공동선언(16:00 영상)
▲ 행안부, 국민안전관리 상황보고회(09:00 상황실)
▲ 행안부, 정부혁신추진협의회 1차회의(14:00 정부서울청사 12층 중회의실)
▲ 여가부, 중앙성별영향평가위원회(14:00 정부서울청사 17층 대회의실)
▲ 노동부, 장애인 고용증진협약 선언식(14:00 성남)
▲ 환경부, 열분해실증시설 점검(15:00 수도권매립지공사)
▲ 복지부, 자활사업장 현장방문(15:30 송파지역자활센터)
[경기]
▲ 민주당 경기지사 경선후보 토론회(22:00 MBC 100분토론)
[경기북부]
▲ 고양 세계태권도품새선수권대회 개회식(17:00 킨텍스 2전시장)
[부산]
▲ 이수권 부산지검장 '검수완박' 관련 기자간담회(14:00 부산지검 회의실)
▲ 민주당 부울경 국회의원, 가덕신공항 관련 긴급 기자회견(14:30 부산시의회)
▲ 부산 금정산벨트 민주당 시의원 4인 합동 기자회견(11:00 부산시의회)
▲ 부산교육청, 학교 일상회복 추진 방안 발표(14:00 부산교육청)
▲ 부산시, 서부산 현장 전략회의(09:00 부산도서관)
▲ 부산시 2050 탄소중립 녹색성장 위원회(10:30 부산시청)
▲ 메타버스 분야 활성화 업무협약(14:30 부산시청)
▲ 2022 부산 창업박람회(10:00 벡스코)
▲ 김해 돗대산 129인 희생자 추모 및 항공안전을 위한 가덕신공항 조기준공 촉구 행사(10:30 돗대산 사고현장)
[울산]
▲ 박태완 중구청장, 재선 출마 기자회견(11:00 중구청)
▲ 울산시 공무직 노동조합 사무실 개소식(15:30 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사업소)
[경남]
▲ 노정연 창원지검장 기자간담회(10:30 창원지검)
▲ 민주당 경남지역 청년출마자 기자회견(14:00 도의회 현관 앞)
▲ 창원시, 창원형 강소기업 지정서 수여식(10:00 시민홀)
▲ 해군 진해기지사령부 항만피해복구 훈련(13:00 교육사령부)
[대구경북]
▲ 대구권 광역도시계획 정책 세미나(14:00 경북도청 회의실)
[광주전남]
▲ 박혜자 광주시교육감 예비후보 기자회견(10:30 광주시교육청)
▲ 광주고검 '검수완박' 기자간담회(11:00 광주고검)
▲ 방송노동자 노동자성 인정 촉구 기자회견(11:00 광주노동청)
[전북]
▲ '검수완박 반대' 전주지검 평검사 3인 기자간담회(10:30 전주지검)
▲ 최찬욱 도의원, 불출마 회견(10:30 도의회)
[대전충남]
▲ 이춘희 세종시장 3선 도전 선언 회견(10:00 시청 브리핑룸)
▲ 허태정 대전시장 재선 출마 선언 회견(14:00 시청 브리핑룸)
[충북]
▲ 한은 충북본부, 자영업자 급감 기자회견(11:00 한국은행 충북본부)
▲ 김병우 충북교육감 3선 도전 기자회견(10:30 충북도교육청 브리핑실)
[강원]
▲ 검수완박 법안 문제점 및 실무적 쟁점 토론회(15:00 강원대 법학전문대학원)
[제주]
▲ 치매 돼지 생산 미국 특허 기술이전 발표 기자회견(10:00 제주대 본관 회의실)
▲ 프레디 머큐리 동상 제막식(14:00 애월읍 해안)
▲ 남방큰돌고래 비봉이 방류 촉구 기자회견(09:30 제주도의회 도민카페)
[국제](현지시간)
▲ 워싱턴DC, IMF 총재 춘계총회 기자회견
▲ 뉴델리, 영국 총리 인도 방문
▲ 도쿄, 뉴질랜드 총리 일본 방문
▲ 바티칸시티, 헝가리 총리 교황 방문
▲ 로마, 베네치아 비엔날레
▲ 도쿄, 일본 야스쿠니신사 춘계 대예제
▲ 베이징, 중국 외교부 정례 브리핑
▲ 런던,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 96세 생일
■ 총리 및 장차관 주요 일정
▲ 김부겸 국무총리
14:30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한국과학기술회관)
[기재부]
▲ 이억원 1차관
10:30 차관회의(정부서울청사)
[과기정통부]
▲ 임혜숙 장관
13:00 월드IT쇼 전시관 참관(코엑스)
14:30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한국과학기술회관)
17:00 과학의 날 특별강연(슈피겐홀)
▲ 용홍택 1차관
14:00 전기차배터리 연구현장방문(그린파워)
▲ 조경식 2차관
11:00 NET sec-KR 2022 개회식(코엑스)
14:30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한국과학기술회관)
▲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
14:00 예타 총괄위원회(서울중앙우체국)
[교육부]
▲ 유은혜 장관
10:00 전국 시도교육장 영상회의(정부서울청사)
[통일부]
▲ 최영준 차관
08:00 차관회의 참석(정부서울청사)
[국방부]
▲ 서욱 장관
10:00 주한 가나 대사 접견
▲ 박재민 차관
10:30 차관회의
[행안부]
▲ 전해철 장관
14:00 정부혁신추진협의회 1차회의(정부서울청사 12층 중회의실)
▲ 고규창 차관
10:30 차관회의(정부서울청사 19층)
▲ 이승우 재난안전관리본부장
09:00 국민안전관리 상황보고회(상황실)
[문체부]
▲ 김현환 1차관
08:00 차관회의(정부서울청사)
[농식품부]
▲ 김종훈 차관
14:00 한우산업 현장점검(충남)
[산업부]
▲ 문승욱 장관
13:30 수소 업계 간담회 및 현장방문(LG화학 여수공장)
▲ 박기영 2차관
10:30 차관회의(정부서울청사)
▲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14:45 수출입물류 현장방문(평택항)
[복지부]
▲ 양성일 1차관
08:00 차관회의(정부서울청사)
15:30 자활사업장 현장방문(송파지역자활센터)
[환경부]
▲ 한정애 장관
15:00 열분해실증시설 점검(수도권매립지공사)
[노동부]
▲ 박화진 차관
08:00 차관회의(정부서울청사)
14:00 장애인 고용증진협약 선언식(성남)
[여가부]
▲ 김경선 차관
08:00 차관회의(정부서울청사 19층 국무회의실)
14:00 중앙성별영향평가위원회(정부서울청사 17층 대회의실)
[국토부]
▲ 황성규 2차관
10:30 차관회의(정부서울청사)
▲ 방통위 한상혁 위원장
16:00 국회 과방위 법안소위(국회)
■ 시도지사 주요 일정
▲ 오세훈 서울시장
14:00 녹지생태도심 재창조전략 현장 기자설명회(종로구 청계천로 159,세운홀)
▲ 박형준 부산시장
09:00 제9차 서부산 현장 전략회의(부산도서관)
10:30 부산광역시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시청 1층 대회의실)
14:30 메타버스 분야 활성화 업무협약(시청 26층 회의실)
15:00 주한에스토니아대사 접견(시청 7층 국제의전실)
▲ 권영진 대구시장
10:00 제290회 임시회(폐회)(대구시의회 본회의장)
▲ 박남춘 인천시장
08:00 공직자 아카데미(온라인)
10:00 인천교통공사 노·사·정 안전관련 공동협약식(대접견실)
18:30 지방소멸 극복 방안 자문회의(로컬크리에이터)(개항장일원)
▲ 송철호 울산시장
10:00 대한민국명장회 울산지회<모형거북선> 전달식(시장실)
10:30 야음지구 수소융복합 인프라 구축사업 MOU(상황실)
11:30 신임 부산지방조달청장 내방(시장실)
15:30 공무직 노동조합 사무실 개소식(남구 삼산로)
▲ 이춘희 세종시장
07:30 제15차 세종경제포럼 세미나(세종비오케이아트센터)
10:00 정례브리핑(정음실(201호))
▲ 양승조 충남지사
11:00 충청남도이디야 농산물 유통 협약(상황실(502))
14:00 정부예산 확보 위한 중앙부처 방문(정부세종청사)
▲ 이시종 충북지사
08:30 영상 현안회의(도지사실)
10:00 4월 목요경제회의(대회의실)
14:00 충북국제무예액션영화제 집행위원회 위촉식(대회의실)
18:00 부처님 오신 날 기원법회(S컨벤션)
▲ 송하진 전북지사
10:20 코로나19 방역수칙 준수 모범업소 표창 전수식(중회의실)
11:00 2022년 제1차 전북과학기술위원회 회의(종합상황실)
▲ 하병필 경남지사 권한대행
09:00 도정현안점검회의(소회의실)
▲ 이철우 경북지사
14:00 울진 산불 피해 복구 성금 전달식 -(사)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 등(접견실)
■ 주요 스포츠 일정
■프로야구= kt-LG(잠실) 키움-SSG(인천) 두산-KIA(광주) 삼성-NC(창원) 한화-롯데(부산·이상 18시30분)
■프로농구= 4강 플레이오프 1차전 kt-인삼공사(19시·수원 kt 아레나)
■골프= KLPGA 투어 넥센·세인트나인 마스터즈(김해 가야CC)
항저우아시아경기대회 아마추어최종선발전(골프존카운티 오라)
■여자축구= 스포츠토토-수원FC(16시·세종중앙공원) 상무-한수원(보은종합운동장) KSPO-창녕WFC(화천생체주경기장) 서울시청-현대제철(서울월드컵 보조경기장·이상 18시)
■태권도= 2022 고양 세계품새선수권대회(9시·고양 킨텍스)
■양궁=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대표 선발 2차 평가전(8시30분·원주양궁장)
■탁구=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청두 세계선수권 대표 선발전(9시·홍천종합체육관)
■씨름= 제76회 전국선수권대회(9시·인제군 원통체육관)
■육상= 전국종별선수권대회(10시·대구스타디움)
■유도= 양구평화컵전국대회(9시·강원도 양구문화체육회관)
■테니스= 국제테니스연맹(ITF) 김천국제주니어대회(김천종합스포츠타운)
■사격= 제34회 대학연맹기 전국대학생대회(9시·대구국제사격장)
▣ 오마이뉴스-리얼미터 지방선거 조사 ▣
☞ 6.1 강원도지사 지방선거 조사
▶엠바고 : 4월 21일(목) 09:00
▶강원 813명 / 오차범위 : 95% 신뢰수준에서 ±3.4%P
▶조사일시 : 4월 19일(화) ~ 20일(수)
■ 강원도지사 여야 후보 지지도: 김진태 34.6%, 이광재 16.3%, 황상무 16.3% 순
■ 강원도지사 더불어민주당 후보 적합도: 이광재 39.7%, 원창묵 16.2%
■ 강원도지사 국민의힘 후보 적합도: 김진태 38.8%, 황상무 29.9%
■ 가상대결 : 김진태 46.6% vs 이광재 37.3%
📮 4월 21일 목요일 간추린 아침뉴스입니다.
● 오늘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사흘 만에 10만 명을 밑돌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유행 감소세가 안정적으로 이어진다고 판단하고 다음 달 초 실외 마스크 해제 여부를 결정하고, 유치원과 모든 학교의 등교도 정상화하기로 했습니다.
● 민주당이 검찰 수사권 완전폐지 법안 처리에 속도를 내기 위해 민형배 의원을 탈당시키고 무소속 법사위원에 배치했습니다. 법사위에 배치한 자당 출신 무소속 양향자 의원이 반대 의사를 밝힌 데 따른 조치로, 국민의힘뿐만 아니라 정의당 역시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 민주당이 법안 처리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검찰은 대응 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중간 간부인 부장검사 대표들도 오늘 새벽까지 회의를 했습니다. 앞서 회의를 했던 전국 평검사 대표들은 민주당이 강행 추진하고 있는 검수완박 법안은 범죄 방치법이 될 거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 민주당 송영길 전 대표와 박주민 의원의 서울시장 후보 공천 배제 문제로 내홍이 격화하고 있습니다. 계파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오르는 양상까지 보이면서 비대위가 심야 긴급회의를 열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선 이후 처음으로 호남 지역을 찾아 지역과 국가경제 활성화를 위해 각종 규제를 대폭 완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방한 중인 성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도 만나 외교 행보에도 시동을 걸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이 취임 후 사용할 관저로,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이 아니라, 외교부장관 공관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취임을 20일 앞두고 재검토에 들어가면서, 졸속 이전이란 지적이 다시 나오고 있습니다.
● 러시아군에 포위된 요충지 마리우폴이 곧 함락될 것이라고 우크라이나군 현장 지휘관이 전했습니다. 핵무기 사용 위협 속에 러시아가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의 2천 배에 달하는 위력을 가진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는 차세대 대륙간탄도미사일을 처음으로 시험발사했습니다.
● 어제저녁 대구에서 산불이 나고, 경남 창원에서도 근린공원에서 불이 나는 등 화재가 잇따랐습니다. 관할 소방서 장비와 인력을 모두 동원하는 대응 1단계가 발령돼 큰 불길을 잡았지만, 오늘도 곳곳에 건조특보가 발효되고 바람도 강하게 불어 화재에 유의하셔야겠습니다.
● 젊은 층을 중심으로 미술품과 같은 고가의 자산에 소액으로 투자하는 이른바 '조각투자'가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음악 저작권 조각투자 업체인 '뮤직카우'가 금융당국으로부터 신규상품 판매 금지 조치를 당했습니다. 주식 같은 증권과 유사한 상품이니 투자자 보호 등 규정을 지키라는 겁니다.
● 공정거래위원회가 주방가전업체 쿠첸에 대해 9억여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법인과 직원을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습니다. 하도급 업체가 단가 인상을 요구하자 기술자료를 빼돌려 경쟁 납품 업체에 넘긴 혐의인데, 쿠첸은 결국 피해 업체와의 거래도 끊었습니다.
● 한국소비자원이 시중에 유통되는 유채유와 겨자유 등 30개 제품의 '에루스산' 함량을 조사했더니 4개 제품이 유럽연합 기준치를 초과했습니다. '에루스산'은 유채씨에 있는 지방산으로, 함량이 높으면 동맥경화나 심장질환을 일으킬 수 있어 국제적으로 5% 이하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 국내 제지 기업이 일제히 종이 가격을 올립니다. 해상 운임이 오르고 국제 펄프 가격이 치솟는 탓에 원가 압력이 갈수록 심해져서 한계에 봉착했다는 판단에선데요. 한솔제지는 다음 달부터 출고하는 일반 인쇄용지 가격을 15퍼센트 올리기로 결정했습니다. 주요 제지 업체가 종이 가격을 올리면서 관련 제품은 물론 배달 제품에 쓰이는 포장재 가격 인상으로 배달비마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 코로나19 영향을 받은 최근 2년 사이 대기업 간에도 연봉 격차가 더 벌어진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정보기술과 전자 업종의 임금 성장세는 가팔랐던 반면 도·소매와 식품 관련 기업들의 보수는 제자리걸음을 한 결과인데요. 매출액 상위 80대 기업의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평균 임금이 가장 높은 카카오와 가장 낮은 동원F&B 간의 평균 연봉 차이는 약 1억 3천 원이었습니다.
●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설계 수명이 다한 원자력발전소의 계속운전 신청 시기를 앞당기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설계수명 만료일에 임박해서 계속운전을 신청하다 보면 안전성 평가와 심사 기간을 지키기 위해 원전 운영을 중단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인데요. 제도 개선이 이뤄지면 새 정부에서는 총 18기의 원전에 대한 계속 운전 신청이 가능해지지만, 신청 기한이 확대될 경우 원전 계속운전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어서 안전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 코로나19 이후 20·30대 등산족들이 늘었는데요. 등산복의 기능성만큼이나 디자인도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아웃도어 업체 6곳의 매출은 1년 새 최대 26% 늘었는데요. 그 중 매출 상승 폭이 컸던 한 업체에서 완판될 정도로 화제가 된 제품은, 아웃도어 의류에는 잘 쓰이지 않는 올챙이 모양의 페이즐리 무늬에, 기장이 짧은 재킷이었는데, 특히 젊은 층의 반응이 뜨거웠습니다.
● 코로나19로 대형마트 시식 행사나 백화점 화장품 테스터 사용, 향수 시향 등이 금지됐었는데요. 다음 주 월요일부터는 가능해집니다. 정부가 거리두기 조치를 전면 해제하면서 오는 25일부터는 대형마트에서 시식이 허용되고요. 백화점이나 생활용품점에서는 화장품을 직접 발라보거나 향수를 뿌려보고 구매할 수 있게 됩니다.
● 집을 담보로 매달 연금을 받는 주택연금 가입이 다시 늘고 있습니다. 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주택연금 신규 가입액은 약 85조 2천억 원으로 1년 새 10조 원 넘게 증가했습니다. 집값이 급등하던 재작년에는 중도 해지율이 치솟기도 했지만 이제는 상황이 달라진 건데요. 올 초부터 지급액이 늘어나는 등 혜택이 확대된 점도 가입자 증가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입니다.
● 커피 전문점 '스타벅스코리아'의 선불 충전금이 지난해 3,4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유효기간 안에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선불 충전금의 유효기간은 최종 충전일이나 사용일로부터 5년인데요. 유효기간이 지나면 매장에 직접 방문해 새로운 카드를 발급받아 잔액 옮겨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 선불 충전금에는 이자가 붙지 않고요. 예금자 보호 대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업체인 넷플릭스가 공유 계정에 추가로 요금을 매기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넷플릭스의 올해 1분기 전 세계 유료 회원은 2억 2,164만 명으로 지난해 4분기보다 20만 명 줄었습니다. 업체는 인플레이션과 우크라이나 사태 등 여러 요인이 영향을 끼쳤다면서도 주요 원인으로는 시장 경쟁이 치열해진 점과 가입자들의 계정 공유를 꼽았습니다.
● 농촌 시군들이 저마다 젊은 귀농인 유치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충남 공주시는 오히려 나이든 은퇴자 유치에 나서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은퇴자를 주목한 것은 젊은 귀농인 유치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귀농을 하자면 주택과 농지가 있어야 하는데 세종시에 인접해 땅값이 비싼 공주는 귀농 여건에서 불리합니다. 그래서 전략을 바꿔 타지역이 관심을 갖지 않는 은퇴자 유치에 착안했습니다.
● 생활 전반에 'MBTI'를 적용하는 2030을 겨냥한 유통업계의 마케팅이 더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GS25가 새로 선보인 맥주는 4종의 캔 양면에 E, I, N, S 등 각기 다른 알파벳이 적혀 있어 4개씩 조합하면 요즘 유행하는 MBTI를 표현할 수 있는데요. 2~30대의 큰 호응을 얻어 출시 5일 만에 17만여 개가 판매됐다고 합니다. 워커힐 호텔앤리조트는 계획적이며 다소 조용한 'ISTJ' 유형에게 사우나와 웹툰 대여 서비스를 추천하는 등 MBTI 유형별 맞춤 호캉스 패키지를 선보인다고 합니다.
※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심리유형검사)
[출처:간추린 아침뉴스]
★★04월 21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경 제》
☞車사고 난 운전자 83%는 "내가 피해자"...교통사고 후 과실비율 분쟁 심의를 청구한 운전자 10명 중 8명(82.8%)은 "내가 피해자"라고 주장한다는 통계가 나왔다. 손해보험협회는 '자동차 사고 과실비율 분쟁 심의위원회' 심의 결정 데이터를 분석·선별해 '숫자로 보는 자동차 사고 과실비율'을 20일 공개했다.
☞코로나 현금성 손실보상 33조~35조 전망…2차 추경 '35+α'조원 이를 듯...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다음 달 10일 취임 후 발표될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위한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안 관련,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약 33조~35조원 수준의 현금성 보상을 검토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고채 금리 대체로 하락…3년물 연 2.957%...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2.4bp(1bp=0.01%포인트) 내린 연 2.957%에 장을 마쳤다...10년물 금리는 연 3.313%로 3.7bp 하락했다. 5년물과 2년물은 각각 0.9bp, 2.4bp 하락해 연 3.203%, 2.758%에 마감했다.
☞'규제 사각지대' 조각투자 플랫폼도 금융당국 감독 받는다...증선위 "뮤직카우 저작권료 참여청구권은 증권" 판단...'투자계약증권' 인정 첫 사례…13년만에 증권 개념 확장...외부예치·피해보상체계 등 갖춰야 정상영업…유사 플랫폼들도 '비상'
《금 융》
☞위닉스, 서큘레이터 첫 출시…냉방가전 시장 진출...공기청정기와 제습기 등에 강세를 보이는 위닉스가 냉방가전 시장에 진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동원산업·동원엔터프라이즈 합병추진에 소액주주 "불공정" 반발...합병비율 산정 논란…시민단체 "최대주주 등에 유리" 주장
☞제도권 안으로 들어온 '저작권 조각투자'…합법화 길 열리나...금융당국, 뮤직카우 저작권료 투자 '증권'으로 판단...'저작권료 청구권' 주식과 유사 발행·유통 동시운영은 금지 방침...투자자 피해 우려로 제재는 유예 10월까지 사업구조 변경 보고해야 기준 안되면 영업정지 당할 수도
☞2차전지 소재주, 다시 달릴 준비...에코프로비엠 등에 긍정적 전망...증권가 "가격 전가로 실적 개선"증권가에서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등 코스닥 2차전지 소재주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높은 가격 전가력과 줄어들지 않는 소재 수요 등으로 실적이 빠르게 개선될 것이란 이유에서다.
《기 업》
☞美뷰티업체 품은 LG생건, 북미 공략 강화...크렘샵 1500억원에 사들여 재미교포 설립, K뷰티로 인기 연매출 3년간 30%씩 성장...LG생건 美 회사 인수 잇달아 어려운 中 대신 미주사업 집중
☞車전장 힘싣는 LG전자…멕시코에 부품공장...마그나와 합작법인 설립해 GM 탑재 구동모터 등 생산 북미 車부품시장 교두보 마련...조주완 사장 직접 진두지휘 인포테인먼트·조명 3각축 전장사업 올 매출 9조 기대
☞정의선·신동빈, 전기차 충전사업 손잡았다...현대차·롯데·KB자산운용 연내 합작법인 설립 합의...초고속 충전기 5천대 설치키로 백화점·현대차 대리점 등 활용 충전 사업자에 임대하는 방식
☞렌탈업계 영토확장…헬스·뷰티서 금맥 캔다...2년간 코로나 특수로 호실적 정수기·공기청정기 중심에서 새로운 먹거리로 다양화 추진...교원, 상반기 헬스바이크 출시 실시간 수업·1대1 의료상담도...현대, LG 손잡고 전극패드 대여 목·어깨·무릎 등 만성통증 완화 청호는 건기식 구독 진출채비
《부 동 산》
☞직주근접 통했다…'힐스테이트 세운 센트럴' 청약 조기 마감...이 단지는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됐지만 전용 59㎡ 분양가가 최고가 기준 10억 5720만 원이었다. 현행 제도상 분양가가 9억 원을 초과하면 중도금 집단대출이 나오지 않는다. 그럼에도 청약 흥행에 성공한 요인으로는 ‘입지’가 꼽힌다.
☞"거실에 슈퍼카 주차 가능"…350억원 청담동 아파트 팔렸다...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최근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지어지고 있는 최고급 공동주택 '워너(ONE.R) 청담'의 슈퍼펜트하우스 전용면적 497㎡가 350억원에 분양됐다. 분양이 시작된 지 약 5개월 만이다.
☞운정·검단 당첨 점수, 서울보다 높았다...제일풍경채 커트라인 64점 검단 힐스테이트 60점대 당첨...초역세권에 실거주 의무 없어 수도권 고가점자들 대거 몰려
☞재건축 멈춘 둔촌주공…금융권, 2조1000억원 대출 놓고 고심...내달 중순 분수령…계약해지 땐 소송전..."가장 큰 피해자는 6000여 일반 조합원"
《사 회 유 통》
☞디아이지에어가스㈜, 구미 5산단 내 제조공장 신축에 700억원 투자...구미시와 디아이지에어가스㈜는 구미시청에서 구미 5국가산업단지 내에 산업용가스 제조공장 신축에 700억원을 투자한다는 내용의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무거운 첫 출발…신혼부부 평균 빚 1억3천만원...집값과 전세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신혼부부들이 첫출발 때부터 1억3000만원가량 빚을 지고 결혼 생활을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中코로나 봉쇄에…낙지 명태 재첩식당 '수산물 대란'...재료없어 포장판매 중단도...조기 가리비 가자미 백합 3월 中서 수입 물량 전무 명태 51%·낙지 34% 줄어 공급 급감에 수입가격 쑥
《국 제》
☞"3톤 짜리 하늘서 '뚝' 모두 파괴"…아내와 통화 러 장교 언급한 '3톤'의 정체...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군이 남부 항구도시 마리우폴에 있는 아조우스탈 제철소를 전면 파괴할 것이라는 내용이 공개돼 충격을 주고 있다.
☞입장권 90% 할인까지…제로코로나에 中 관광업 휘청...하이난·윈난·내몽고 등 관광객 50% 급감...항공편 22년만 최저치·호텔 80%이상 비어...관광산업 위축으로 GDP 0.5%P 감소 예상
☞넷플릭스 "1억가구 이상 공유계정 사용"…과금 추진한다...세계 최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넷플릭스가 전 세계 1억 가구 이상으로 추정되는 공유 계정에 대해 과금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미 CNBC 방송이 보도했다...넷플릭스는 이날 주주들에게 보낸 분기 서한에서 가입자 성장기에는 계정 공유를 묵인해 왔지만, 11년 만에 처음으로 가입자가 감소하는 등 상황이 변했다면서 공유 계정 상대로 과금에 나설 계획임을 밝혔다.
☞무려 1조원짜리 급여 패키지...미국 광고 기술회사 트레이드데스크의 제프 그린 최고경영자(CEO)가 지난해 8억3500만달러(약 1조357억원)의 급여 패키지를 받았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이는 지금까지 지난해 CEO 보수를 공개한 S&P500 기업 중 가장 많은 금액이다.
2022년 4월 21일(목)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발생현황
ㅇ 총 확진자 : 16,674,045명(+90,867명)
* 전주동일(148,443명) 대비 - 57,576명
- 국내 : 90,836명
ㅇ 재원 중 위중증 환자 : 846명(+38명)
* 전주(4.10.~4.16.) 평균 : 1,015명
ㅇ 총 사망자 : 21,667(+147명)
* 치명률: 0.13%
▁▁▁▁▁▁▁▁▁▁▁▁▁
4. 21(목) 경찰관련 기사 스크린
▔▔▔▔▔▔▔▔▔▔▔▔▔
(목) 🌤 → 🌤 11℃ / 22℃
구름 많고 일교차 커…제주도·남해안 흐리고 비
금🌧 토🌤 일🌤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 거리두기 풀리자 한밤 지구대는 ‘취객과의 전쟁’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2042001030821000001
- 축제 열리고 MT명소 대성리는 "예약불가"…대학가는 '들썩'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42009515195874
- "11월~내년 초 코로나 재유행할 듯…사망 700~2700명 예상"
https://www.nocutnews.co.kr/news/5743588
- 전파력 크면 하루 100만명대 확진… “가을 코로나 새 변이 가능성”
http://www.segye.com/newsView/20220420518833?OutUrl=naver
- 인수위 "코로나19 방역수칙 해제 현명하지 못해"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3750
- 마스크 해제에 제동건 인수위…5월 초 '해제 가능성' 줄어들까 / 인수위 "마스크 착용은 '최종 방어선'…신중히 접근해야"
https://www.news1.kr/articles/?4655151
- 이달 노마스크 사실상 무산…올 여름도 '위드 마스크' 가나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420_0001841664&cID=10201&pID=10200
- 정부 "코로나 유행 감소세‥진단체계 'PCR 검사' 일원화 검토"
https://imnews.imbc.com/news/2022/society/article/6361104_35673.html
- 내달 23일 격리 '의무→권고'로…'확진자' 용어도 사라지나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224246632298088&mediaCodeNo=257&OutLnkChk=Y
- 코로나 완치됐는데 백신 계속 맞아야 하나요?[궁즉답]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394406632298088&mediaCodeNo=257&OutLnkChk=Y
- 재조합 변이 17종 중 3종 국내 확인…재유행 영향은?
https://view.asiae.co.kr/article/2022042011240605521
- 美 신규확진 4만명 넘겨…뉴욕은 위험도 '낮음→중간' 올라갈 듯 / 美 북동부와 중서부 지역서 확진자 가파르게 증가
https://www.yna.co.kr/view/AKR20220421003200091?input=1195m
- 과학자 아닌 판사가 끝낸 美 마스크 의무화…정치화된 방역
https://www.yna.co.kr/view/AKR20220420140800009?input=1195m
❏ '2022 대테러 고위급 국제심포지엄'
https://www.yna.co.kr/view/PYH20220420087800013?input=1196m
- 대테러 국제심포지엄 개최… 신기술 위협·국제협력 방안 논의
https://view.asiae.co.kr/article/2022042010283064869
- "신기술 악용 테러 막자" 경찰청·UN 국제 협력 강화 심포지엄…반기문 등 참석
https://www.sedaily.com/NewsView/264RMF1VHE
❏ ‘아시아 최대 규모’ 세계보안엑스포 개막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64651
- [세계보안엑스포]사이버·물리 보안 솔루션 한눈에 / SECON & eGISEC 2022 킨텍스서 개막
http://www.koit.co.kr/news/articleView.html?idxno=96059
❏ 매년 느는 ‘장애인 학대’ 경찰·市 공동 대응체계 구축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420000537
- 경찰·서울시, 장애인 학대에 공동대응…"매년 시설 점검·적극 수사"
https://www.sedaily.com/NewsView/264RMPUOL3
❏ 전직 경찰, 태권도 유단자..서울 안심마을보안관 든든하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42009510465358
- 서울시, 안심마을보안관 활동…1인가구 많은 골목 순찰 / 전직 경찰, 군 간부 출신 등 63명 선발 / 1인 가구 62% “한밤 골목길 무섭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420000694
- 늦은 밤 나홀로 귀갓길 지켜라…'안심마을보안관' 본격 활동 / 서울시, 안심마을보안관 사업 올해 본격 시행 / 심야시간대 2인1조 보안관이 동네 곳곳 순찰 / 서울시 "1인가구 밤길 안전 위해 사업 확대"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420_0001840655&cID=10201&pID=10200
- 오세훈 "자치경찰제 유명무실…파출소·지구대 권한 이양받아야" / 오세훈, 안심마을보안관 현장 점검 위해 청파동 찾아 / "말만 자치경찰이지, 파출소 관할권 지자체장에 없어" / "4년 내 서울 1인가구 밀집지역에 안심마을보안관"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420_0001841539&cID=10201&pID=10200
❏ 서울경찰청, 포돌이 포순이 장엄등 점등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545
❏ “왜 모욕 주나? 경찰이 99% 사건 맡을 때 검사는 1%만 골라해” / 검찰의 ‘전방위 폄하’에 속 끓이는 경찰 / 경찰 내부 “왜 모욕 주며 여론전 하는지”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39702.html
- "경찰이 상해치사로 본 사건, 살인이었다"…대검, 보완수사 공개 / 77억 청약 범죄 무혐의 경찰 사건 받아 구속…경찰 수사 인권침해 우려도 제기 / 검찰 수사심의위·시민위 등 견제장치 제안
https://www.yna.co.kr/view/AKR20220420098551004?input=1195m
- 현직 부장검사 "검찰 1개 사건과 경찰 1000개 음주운전 사건은 동급 난이도"
https://www.news1.kr/articles/?4655126
❏ '총상·폭발창' 전문 국군외상센터 개소...경찰·소방 등 단계적 진료 확대
https://www.ytn.co.kr/_ln/0101_202204201006501402
- 창군 첫 국군외상센터 개소, 경찰‧소방관‧주한미군까지 치료 확대한다 / 성남 국군수도병원 안에 설립, 20일 개소식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0420000582
❏ 경찰공제회, 투자본부 대폭 개편…CIO 운용역량 확대 / 지난 15일 조직개편 완료…현재 정관개정 추진 중 / 명칭 간소화·채권운용팀 신설·대체투자팀 분리 등 / CIO가 투자본부 다 맡아…단계적 팀별 인력 보강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191446632298088&mediaCodeNo=257&OutLnkChk=Y
❏ 보행자 보호 의무 강화?…차들 여전히 골목길서 속도 내고 경적 빵빵 / 개정 도로교통법 20일부터 시행…이면도로는 보행자 우선"…'빵빵'하면 범칙금 4만원 / 실효성 논란도…운전자 '진땀', 경찰 '난감'
https://news.imaeil.com/page/view/2022042014453512895
❏ “나만 당할 순 없어” 교통법규 위반 공익신고의 역습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8847
- 교통법규 위반 공익신고 폭증 경찰 인력난 호소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1123009
❏ 'N번방' 실체 파헤친다…넷플릭스 '사이버 지옥: N번방을 무너뜨려라' / 기자, PD, 경찰, 추적단 불꽃까지 24명이 밝히는 'N번방'의 실체
https://www.nocutnews.co.kr/news/5743450
- 추적→체포까지…‘사이버 지옥: N번방을 무너뜨려라’, 5월 18일 공개
http://www.celuvmedia.com/article.php?aid=1650428038420249006
❏ "디지털 젠더폭력 등장…女폭력, 사후 처벌 강화만으로 한계"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새 정부 양성평등 정책' 토론회
https://www.news1.kr/articles/?4654636
❏ 서울 중고생 40% 알바 중 인권 침해 경험 / 근로계약서 미작성이 가장 빈번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421009012&wlog_tag3=naver
❏ 늙어가는 조폭… 조직원도 벌이도 ‘뚝’ / 경찰관리 조폭 9년새 187명 줄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0421/112996085/1
❏ 여가부, 법무부·국방부·경찰청 '양성평등 조직문화' 진단한다
https://www.news1.kr/articles/?4654440
❏ 경찰 왜 이러나…피의자 사진·운전면허증 네이버 카페 공개
https://view.asiae.co.kr/article/2022042009561412331
❏ 경찰 3명-제주시 공무원 1명 연루 공직자 비리 터지나 / 각각의 건으로 송치한 경찰, 하나의 사건으로 묶은 검찰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402103
❏ 차도로 밀려난 수요시위...정의연 "정부·경찰이 나서야"
https://www.fnnews.com/news/202204201502191135
❏ 경찰이 내린 무혐의 결론… 경찰이 뒤집을 수 있을까?
https://www.nocutnews.co.kr/news/5743952
❏ 평검사들 밤샘회의 "'검수완박'='검찰개혁' 아냐" 반기 / 평검사들, 검수완박은 범죄방치법 / 수사와 기소는 불가분한 관계이다 / 범죄자 면죄부주는 검수완박 반대
https://www.fnnews.com/news/202204201528007317
- “피해자 고소장, 경찰 거부땐 檢에도 못내… 구제받을 길 사라져” / 평검사 대표 207명 ‘검수완박’ 비판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0421/112996415/1
- '검수완박' 속도전에 긴급 토론회·공청회 잇따라..."의견 수렴 기회 없었다" / 판사, 검사, 변호사, 교수 등 각계 인사 참여 토론회·공청회 열려 / 국회가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위한 자리를 마련했어야
https://www.fnnews.com/news/202204201543261793
- '검수완박' 강대강 대치 정국… 국회의장도 나선다 / 박의장 해외순방 전격 보류 '변수'… 민주 '직권상정' 설득해야 / 靑 "국회 시간 대통령 끌어들이지 말라"… 검찰은 연일 여론전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42083
- 검수완박 기자간담회…취재기자들 "필요할 때만 불러 일방적 주장하나"
https://www.news1.kr/articles/?4655073
❏ 檢, 오늘 공공수사부 등 기자간담회…연일 여론전 / 연일 기자간담회 이어가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0420001028
❏ ‘검경 파쇼’ 논쟁부터 수사권 폐지 논란까지…수사권 조정 68년사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39789.html
❏ 불붙은 '검수완박 위헌' 논란…4대 쟁점, 법률가 판단은?
https://www.news1.kr/articles/?4655101
❏ "국민참여재판 받을게요" 한 마디에 얼어붙은 법정…왜? / 현행법상 피고인은 국민참여재판 받을 권리 있어...제도 개선 필요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42015164464142
❏ 동성군인 성관계 처벌 판례 바뀔까…대법 전원합의체 오늘 결론
https://www.news1.kr/articles/?4655282
❏ 유퀴즈 출연한 尹 "대통령은 고독한 자리…요즘 숙면 어려워"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204201041i
❏ 尹 취임 당일 10시부터 청와대 개방… 하루 최대 3만9000명 관람
https://view.asiae.co.kr/article/2022042016330231282
❏ 文대통령, 오늘 이창용 신임 한은 총재 임명장 수여
https://www.news1.kr/articles/?4655309
❏ 오늘의 사설
https://news.naver.com/main/opinion/todayEditorial.naver
❏ 칼럼
https://news.naver.com/main/opinion/todayColumn.naver
❏ [오늘의 주요일정] 정치·정부(21일, 목)
https://www.news1.kr/articles/?4655413
❏ [오늘의 주요일정]사회(4월21일 목요일)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420_0001841742&cID=10201&pID=10200
< 해외 >
❏ '성병' 매독 환자, 역대급 속도로 늘어나는 日…원인 미스터리
https://www.news1.kr/articles/?4654993
❏ "소금 안 쳐도 된다"…일본서 '짠맛' 내는 젓가락 발명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2042098087
❏ 美 유명 셰프, 우크라서 목숨 걸고 봉사…"1200만끼 제공"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420_0001840170&cID=10101&pID=10100
❏ 로힝야족 500여명, 말레이 수용소 집단 탈출…176명 행방불명
https://www.news1.kr/articles/?4655119
❏ 신분 다른 이와 결혼했다고 명예살인 위기 놓인 파키스탄 부부, 한국서 첫 난민 인정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39722.html
—————————————————————————————————
❏ [날씨] 전국 구름 많고 따뜻...동해안 건조·강풍 대형산불 유의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3&sid2=248&oid=052&aid=0001729343
❏ 마음 다짐은 바르게
화는
마른 솔잎처럼
조용히 태우고
기쁨은
꽃처럼 향기롭게
인내는
질긴 것을 씹듯 하고
연민은
아이의 눈처럼 맑게 하며
남을
도와주는 일은 스스로 하고
도움받는 일은 힘겹게 구하라.
내가 한 일은 몸에 감사하고
내가 받은 것은 가슴에 새기고
미움은 물처럼 흘려보내고
은혜는 황금처럼 귀히 간직하라.
생각은 늘 게으르지 않게 하고
후회하기를 변명 삼아 하지 않으며
마음 다짐은 늘 바르게 하라.
오늘은 또 반성하고
내일은 희망이어라.
- 혜담스님 -
'이것만 보셔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426(화) 뉴스브리핑 Feat 죄송합니다. 어제는 경황이 없었습니다. (0) | 2022.04.26 |
---|---|
220422(금) 뉴스브리핑 (0) | 2022.04.22 |
220420(수) 뉴스브리핑 (0) | 2022.04.20 |
220419(화) 뉴스브리핑 (0) | 2022.04.19 |
220418(월) 뉴스브리핑 (0) | 2022.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