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만 보셔도... 552

230314(화) 유니드 뉴스브리핑(D-15)

📰 3.14(화) 주 요 뉴 스 📰 ​ ​ 🔍윤 대통령, 미국 SVB 파산 영향 면밀 점검 지시. 윤, "미국 SVB(실리콘밸리 은행) 파산으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확산하고 있다. SVB 파산 요인, 사태 진행 추이, 미국 당국의 대처, 국내 금융시장 및 실물경제에 대한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라" ​ 🔍민주당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 표결에서 민주당 이탈표가 다수 나온 것에 이어 이 대표 측근 사망 등의 악재에 휩싸인 가운데 민주당 내 비명계 의원들 중심으로 다음 총선을 '이 대표 체제' 로 치르기 어렵다는 목소리. 비명계, "이 대표와 지도부가 당을 어떻게 이끌고 가겠다. 총선을 어떻게 치르겠다는 해법을 내놔야 한다. 당직 개편도 방법이 될 것" 이재명 대표, "당내 소통을 더 강화하겠다" 비명계 끌어안..

230313(월) 유니드 뉴스브리핑(D-16)

#유니드뉴스브리핑 ​ 국내 코로나19 발생현황 ㅇ 총 확진자 : 30,638,929명 (토 +9,342명 / 일 +4,198명) * 전주동일(4,300명) 대비 -102명 - 국내: 4,186명 ​ ​ ​#국회전통파우치 ​#국회파우치 #국회수공예파우치 https://smartstore.naver.com/uneedit/products/5503136195 [핸드메이드] 대한민국 국회 화장품파우치, 여성용품가방, 악세사리가방, 통장가방, 전통파우치, [기념품샵] 저희 기념품샵에서는 고객님들을 대신해 특별한 구매대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smartstore.naver.com ​ ▁▁▁▁▁▁▁▁▁▁▁▁▁▁ 3. 13(월) 경찰관련 기사 스크린 ▔▔▔▔▔▔▔▔▔▔▔▔▔▔ ​ (월) ☀ → 🌤 -3℃ / 7℃..

230309(목) 유니드 뉴스브리핑(D-20)

#유니드뉴스브리핑 ​ ★★03월 09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 《경 제》 ​ ☞ '쌀값 하락 막겠다'…정부, 벼 재배면적 3만7000㏊ 줄이기로...농식품부, '쌀 적정생산 대책' 추진...지난해 쌀 20㎏ 당 4만393원까지 하락...일반벼 재배농가, 하계조사료 등으로 전환 유도 ​ ☞ '펫존' 늘리는 요즘 카페 "반려견 환영해요"...카페 프랜차이즈 펫 마케팅...스타벅스·할리스 '펫매장' 운영...커피빈은 반려동물 MD로 인기 ​ ☞ “조선 하청근로자 200만 원 내면 만기 땐 800만 원”…정부 지원사업 발표...8일 비상경제장관회의 열려...조선업 생산인력 1만4000명 부족 전망, 조선업 상생 패키지 지원사업 발표 ​ ☞ ‘도와주지는 못할 망정’···정부, 난방비 보편 지원 지자체에 페널티 ..

230308(수) 유니드 뉴스브리핑(D-21)

★★03월 08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 《경 제》 ​ ☞ 이창용 “물가상승률 목표치 3%로 상향, 바람직하지 않아”...“물가 안정 저해, 환율 절하 요인 될 수도”...부동산 재테크 대상으로 삼는 흐름에 경고도 ​ ☞ 한전적자 유탄맞은 국책은행…공기업 주식으로 ‘땜질’ 논란...산은 등 국책은행에 대규모 공기업 주식 수혈...건전성지표 개선되지만 현금 지원없는 맹탕...국회 심사 우회…전기요금 대책 등 정공법 필요 ​ ☞ 감자값 '오름세'…과자 가격 인상 가능성 제기...미국·호주 기후 이상으로 감자값 급등...제과업계, 농가와 계약 재배로 시세 영향 없어 ​ ☞ 韓 1인당 국민소득, 20년 만에 대만에 역전…“이례적 환율 급등 영향”...명목GDP 3.8% 성장에도 환율 12.9% 올라...“환율..

230307(화) 유니드 뉴스브리핑(D-22)

2023년 3월 7일 화요일 간추린 뉴스 2023년 3월 7일 화요일 헤드라인 뉴스 2023년 3월 7일 화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 ————— ​ 2023년 3월 7일 화요일 간추린 뉴스 ​ ● 국민의힘 당 대표 선출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대통령실 선거 개입 의혹이 막판 쟁점으로 다시 떠올랐습니다. 대통령실 행정관이 선거에 개입한 정황이 포착된건데요. 경쟁 후보들은 일제히 비판에 나섰고, 김 후보는 사실관계를 파악해보겠다고 말했습니다. ​ ● 정부가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에게 피고 기업 대신, 국내 재단에서 배상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내놨습니다. 피해자인 양금덕 할머니는 "그런 돈은 굶어 죽어도 안 받겠다"며 정부를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 ● 일본 기시다 총리는 한국 정부 발표안을 환..

230306(월) 유니드 뉴스브리핑 (D-23)

★★03월 06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 《경 제》 ​ ☞ 올해 1월 반도체 재고율 26년 만에 최고…수출에 악영향...265.7%로 1997년 3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반도체 업황 악화로 수출 부진 지속 불가피 ​ ☞ 물가, 금리에 국민연금까지…대한민국 중산층 허리 휜다...내집 샀다가 돌아온 기준금리 상승 부메랑...국민연금 보험료 25년만에 가장 큰 폭 상승 ​ ☞ 3곳 이상 돈 빌린 다중채무자 31% '30대 이하 청년'...60대 이상 다중채무자도 급증…4년 만에 43.6%↑ ​ ☞ 3·1절 휴일 우즈벡 정부 찾아간 공무원들, 국내 가전 수출 애로 풀었다...우즈벡 당국이 수입 가전제품에 대해 에너지효율 차별 높인 규제 도입하자 국내 가전기업 연 300억 수출 차질 위기...산업부 국표원..

230303(금) 유니드 뉴스브리핑 (D-26)

2023년 3월 3일 금요일 간추린 뉴스 ★★03월 03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2023년 3월 3일 금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 ​ https://smartstore.naver.com/uneedit/products/5572817801 ​ ————— ​ 2023년 3월 3일 금요일 간추린 뉴스 ​ ●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체포동의안 처리 과정에서 불거진 당내 갈등이 쉽게 봉합되지 않고 있습니다. 당 지도부는 연일 단합과 소통을 강조하고 있지만, 일부 당원들은 이낙연계 의원들이 이탈표를 던졌을 거라고 의심하고 이낙연 전 대표를 영구 제명하는 청원까지 올렸습니다.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오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출석합니다. 대선 후보 시절 대장동 개발 담당자인 고 김문기 성남도..

230302(목) 유니드 뉴스브리핑

★★03월 02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 《경 제》 ​ ☞ 겨울철 작황 부진에 당근·무 가격 강세… 한동안 지속 전망...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 엽근채소 3월호' 발표...이달 당근 도매가 20㎏에 5만5천원, 지난해 2.6배 수준...무 도매가는 39.2∼59.1% 비싼 1만4천∼1만6천원 관측...겨울철 한파, 폭설로 작황 부진… 농식품부는 할인 지원 ​ ☞ 코트라, 리스본무역관 개소…“유럽 수출 확대 박차”...유럽 수출확대전략회의 연이어 개최…“현장에서 수출 기회 찾는다” ​ ☞ 반도체 수출 반토막…대중 무역수지 5개월 연속 감소...2월 반도체 수출 42.5%↓…전체 수출 악영향..."가격 하락세 지속, 하반기 이후 반등 기대"...대중 수출·수지도 나란히 마이너스 성장..."12개 분야..

230228(화) 유니드 뉴스브리핑

★★02월 28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 《경 제》 ​ ☞ 어묵·명태로 둔갑시켜…멸종위기종 고래 고기 밀수한 일당...10∼20㎏씩 366차례에 걸쳐...일본서 국제특급우편으로 밀수...대금 소액송금으로 쪼개 보내...부산세관, 밀수입 6명 검거...식당에 유통된 224kg 압수 ​ ☞ “소줏값 6000원 안 돼” 정부 압박에 주류 업체들 출고가 인상 보류...하이트진로 “소주 가격 인상 요인 많으나 당분간 안 올린다”...추경호 “소주, 국민들이 정말 가까이 즐기는 품목... 물가 안정 협조 부탁” ​ ☞ 공공요금 누르니 ‘먹거리’ 튀어 오르네… 공정위, MB때처럼 ‘물가 당국’ 등판하나...서민품목 중심 물가 상승에 정부 고심...공정위, 주류업계 경쟁구조 살필 계획...화학업체·통신사·은행까지 들..

230227(월) 유니드 뉴스브리핑

★★02월 27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 《경 제》 ​ ☞ 5가구 중 1가구 월 200만원도 못 번다...작년 4분기 소득 분배 여건이 개선됐지만 5가구 가운데 1가구는 월평균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4분기 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가구는 월평균 60만9천90원의 적자 살림을 했다. ​ ☞ 정부, 소주값 6000원 시대 제동…주류업계 실태조사 착수...소주값 인상 요인·동향 점검…사실상 인상 제동...국세청, 주류업계와 비공개 간담회…"업계 압박 상당할 것" ​ ☞ "초저가 아니면 초고가만 산다"…국내 소비 양극화 심화..."해외 소비 급증 경향도…물가 안정책 통해 민간소비 회복해야" ​ ☞ 휘발유·경유값 또 뛴다고?…中 제재·러 공급차질 변수로...배럴당 80달러대서 등락하지..